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SK바사,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최초 기후변화 대응 보고서 발간

SK바이오사이언스가 처음 발간한 TCFD 보고서 표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경영전략과 실천방안을 담은 보고서가 발간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후변화에 따른 비즈니스의 지속성과 대응 전략을 담은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보고서(TCFD 보고서)'를 첫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보고서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중대 위기 요인으로 ▲정책적 탄소가격 도입 강화 및 가격 부담 확대 ▲팬데믹 이후 백신 자급화 및 바이오안보(Biosecurity) 강화 트렌드 대응 필요성 확대 ▲이해관계자의 기후변화 대응 강화 요구 및 사회적 비용 증가 ▲이상기후 현상으로 곤충, 설치류 등의 서식환경 변화에 따른 매개성 감염병 전파 및 확산 등을 꼽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기회 요인으로는 ▲대응 현황 공개 의무화에 따른 글로벌 공동사업 지속성 증대 ▲선도적 대응을 통한 백신 사업자 입지 강화 ▲기후변화 적극 대응에 따른 환경보호로, 인수공통 질병 확산 예방에 대한 기여 등을 선정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4년 RE100, 2031년 넷 제로(Net Zero)' 전략을 수립했다. 2024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달성하는 RE100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선제적으로 감축하고 공장에서 사용되는 연료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의 추가 노력을 통해 최종적으로 2031년 탄소 배출 제로(Net Zero)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사회 중심의 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를 확립하고 ESG위원회를 설립해 중장기 기후변화 관리 전략과 경영을 총괄하도록 했다. 또 조직 간 유기적 협업을 위해 ESG위원회 산하에 실무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한 전사 차원의 통합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추도록 했다.

 

TCFD는 지난 2015년 설립된 국제 협의체로 기업이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요소를 파악하고 전략을 수립한 뒤 예상되는 재무적 영향을 수치화된 보고서로 공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