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중국 봉쇄 해제에 면세 ·식품업계 숨통 트이나

image
인천공항 면세점 쇼핑안내 전광판/뉴시스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고강도 방역 정책을 펼쳤던 중국이 지역 봉쇄를 해제하면서 국내 면세점과 현지에 진출해있는 식품기업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다수의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각 지역에서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방역 완화 조치가 쏟아지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대중교통 이용시 PCR 검사 음성 결과를 제출하거나 지역 봉쇄 등 강도 높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펼쳐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자 당국이 통제 조치를 푸는 수순을 밟고 있다. 감염자가 발생하면 아파트 단지 전체를 봉쇄하던 방식을 더이상 고집하지 않는 것이 가장 눈에 띄는 조치다.

 

중국이 방역을 완화하고 멀지 않은 시기에 국경이 재개방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면세업계와 식품사들도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가장 환호하는 곳은 면세점이다. 그동안 중국 봉쇄령으로 면세점 큰손인 중국인 보따리상 '따이공'의 입국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외국인 관광객 수요가 회복되고 있지만, 크루즈 단체 관광객이 많았던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현저히 적은 숫자인데다, 따이공의 구매력과도 차이가 크다.

 

업계 관계자는 "방역 정책 완화 기조가 지속된다면 중국 내 소비심리 재활성화와 함께 관광 재개에 따른 면세점 채널 매출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 "중국인들의 이동량이 급증하는 1월 춘제(설)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개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다만, 리오프닝 과정에서 중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금 폭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인 관광객 입국이 재개되면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홍삼 판매량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KGC인삼공사의 상반기 실적은 좋지 않았다. 해외여행이 제한되고 면세점 판매망이 끊긴 게 악재가 됐다. 정관장 매출의 약20%가 면세점이 차지한다. 증권업계는 관광객 수요가 늘고 면세점 판매가 정상화되면 자연스럽게 수익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3분기 실적 반등도 내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KGC인삼공사의 3분기 매출액은 4290억원, 영업이익은 748억원으로 각각 지난해 동기대비 2.7%, 9.2% 상승했다. 면세점 채널의 3분기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68.9% 성장하며 점진적인 회복세가 예상된다. 

.

 

중국 현지에 진출해있는 식품사들에게도 방역 완화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국 상하이에 공장을 두고 있는 농심과 오리온은 앞서 지난 4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도시를 봉쇄하면서 한달간 공장 가동을 중지한 바 있다. 당시 농심은 상하이가 아닌 선양 공장에서 라면을 생산해 납품했고 오리온도 광저우 등 다른 공장에서 스낵을 만들어 조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고강도 방역 정책으로 인해 온라인 중심 판매를 확대해왔지만, 내년부터는 오프라인 판매가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주요 원재료, 에너지비용, 물류비 등의 상승으로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 방어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오리온은 춘제를 앞두고 현지 문화를 반영한 선물세트를 예년보다 빠르게 출시하면서 명절 수요를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가격 경쟁력이 높은 스낵류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영업력 강화도 지속해갈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