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내년 PF부실 본격화…건설+증권+저축은행 연쇄부도 우려

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
미분양 급증, 내년에도 집값하락 전망
금융위기 전조증상,저축은행 PF대출 연체 급증
증권사 우발부채 확대
추경호 부총리, "부동산 PF 사업자 보증규모 5조원 추가확대"

지난 11일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시민들이 나들이를 즐기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금리인상과 전세자금대출 기준 강화로 인해 12월까지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20만8315)중 월세 거래량이 41.8%를 차지해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뉴시스
지난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넷째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4.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매매수급지수도 70선이 붕괴되며 매수심리가 극도로 위축되는 모습이다./뉴시스

일부 중견 건설사가 부도 위험에 처한 가운데 내년부터 제2금융권과 건설사의 연쇄도산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부동산 시장 위축에 이어 고금리 기조까지 장기화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위험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까지 안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던 저축은행의 PF대출 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여기에 증권사의 우발부채 비중까지 크게 확대되면서 내년 하반기부터 제2의 금융위기를 우려할 정도다.

 

◆ 올 3분기 저축은행 PF대출 연체, 1000억원 불어

 

부동산시장이 활황일때 저축은행은 건설사의 자금줄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시장 악화로 돈을 갚지 못하는 건설사가 급증하면서 PF대출 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

 

부동산 PF는 건물을 지을 때 시행사가 공사비를 조달하기 위해 이용하는 금융 기법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는 1년 만에 1000억원 넘게 불어났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총 26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5%(1098억원) 늘었다.

 

특히 올해 6월 말 기준 전체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12조원에 달한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월 말의 78조9000억원 대비 42%나 증가한 수준이다. 약 4년 전인 2018년 말의 59조5000억원과 비교해도 두 배 정도로 늘었다.

 

◆ 미분양 급증…중견 건설사 부도 '시작'

 

건설사들의 부도가 시작되면서 금융위기 공포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 지난 9월 충남지역 종합건설업체 6위인 우석건설이 부도를 냈고, 매출 500억원대인 동원건설산업(경남지역 시공능력평가 18위)이 최근 부도처리 됐다.

 

중견 건설사가 부도를 피하지 못한 이유는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미분양이 급증하고 있어서다.

 

이달 초 진행된 올림픽파크 포레온 1순위(서울 2년 이상 거주) 청약의 평균 경쟁률은 3.7대 1 수준에 그쳤다. 지난 10월 분양됐던 '더샵 광양라크포엠' 시행사는 최근 분양을 중단하기로 하고 계약자에게 계약 해제 및 위약금 지급 관련 내용을 통보했다.

 

그럼에도 집값 하락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금리인상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국내 아파트값은 주택보다 더 하락해 서울 아파트값은 4% 떨어지고, 지방 아파트는 5.5% 하락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부동산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내년 상반기 이후 제 2의 금융위기가 발생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도 부동산 시장 위축이 부동산 PF 대출 부실을 일으켜 건설사들의 줄도산과 저축은행들의 부도로 이어졌다. 실제 국내외 경제 전문가 10명 중 6명은 1년 안에 금융시스템 위기가 닥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시스템 위기가 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국내외 주요 경제 전문가 72명 중 58.3%가 "높다"고 답했다.

 

◆ 증권업계 우발부채 급증 "건설사 채무 많아"

 

여기에 증권업계의 부동산PF 관련 우발부채 규모도 45조원까지 치솟으면서 금융 시장의 위기감은 더 커지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3분기 증권사 27곳의 우발부채 규모는 45조121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0조6161억원)과 비교해 11.09% 증가했다.

 

우발부채란 확정되지 않은 부채지만 향후 차환 발행에 실패하는 등 돌발 사태가 발생하면 그대로 채무를 짊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증권사의 수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PF 채무보증이 늘어나면 우발부채도 증가하는 셈이다.

 

문제는 현재 중소형 증권사는 물론 대형 증권사의 우발부채 비중이 자기자본 대비 80~90%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는 자산건전성이 훼손될 가능성 높다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부동산 시장 침제의 장기화는 건설사에 자금난을 일으켜 금융권의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현재 시중은행의 부동산PF 대출 비중이 지난 금융위기 때보다 크지 않아 위험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지만, 정부의 선제적인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연쇄도산은 순식간에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