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여야 완전체' 이태원 참사 국조특위 현장조사, "진상 제대로 규명"

유족들과 시민들도 이태원 참사 현장에 모여
국조특위, 참사현장-이태원 파출소 현장 조사

우상호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특조위원들이 2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현장 현장조사에서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의 브리핑을 듣고 있다. / 뉴시스

10·29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가 21일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인근에 마련된 시민 분향소 방문을 시작으로 현장조사 일정을 시작했다.

 

국민의힘이 전날(20일) 참사 유가족과 국회에서 면담하고 국조특위 복귀를 선언하면서 국조특위는 여야 '완전체'로 활동하게 됐다. 우상호 의원이 국조특위 위원장으로 전체 위원회를 이끌고, 국민의힘에선 이만희·박형수·전주혜·조수진·박성민·조은희·김형동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선 김교흥·진선미·권칠승·조응천·천준호·이해식·오영환·윤건영 의원이 활동한다. 비교섭단체에선 장혜영 정의당 의원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진상 규명에 나선다.

 

국조특위 의원들은 시민 분향소를 조문하고 159명의 희생자를 낸 용산구 이태원동 119-3번지 일대 해밀톤호텔 옆 골목 참사 현장을 눈에 담으며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다짐했다.

 

우상호 국조특위 위원장은 현장조사 개시를 알리면서 "여러분이 마음으로 느끼고 있지만, 좁은 곳에서 대한민국 국민의 희생이 일어났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얼마나 고통스럽게 유명을 달리했을지 가슴이 먹먹하다"며 "국정조사를 통해서 진상을 규명해 왜 이런 일을 미연에 막지 못했는지 책임을 정확히 따지겠다"고 말했다.

 

현장에 나온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은 국조특위 위원들에게 사고 지역의 특징과 사고가 일어난 경위, 참사 당시 상황 등을 설명했다. 임현규 용산경찰서장도 국조위원들에게 참사 당시 경찰의 대응 등 사건 관련 위원들에게 브리핑했다. 국조위원을 둘러싼 일부 유가족과 시민들은 자식을 다시 살려내라며 오열하고 절규했다.

 

현장조사를 마친 국조위원들은 참사 당시 현장 대응을 맡았던 이태원 파출소를 방문해 참사 발생 이전에 시민들의 압사 우려 관련 신고가 있었음에도 대응하지 못했던 이유와 현장 인력 배치 등을 따져 물었다.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날 오후에 현장조사를 하는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에서 재난의 징후를 인지하는 데 실패한 조건을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참사 방지 책임이 있는 서울시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현장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사로 희생된 고(故) 이지한 씨의 아버지 이종철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국정조사기간이 너무 짧다"며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현장조사를 더 확실하게 진행해 유가족들이 납득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국정조사 기간은 총 45일로, 종료 시한은 내년 1월 7일이다. 야당은 여야 갈등으로 국정조사 특위가 뒤늦게 출발한 만큼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국민의힘은 국조특위에 복귀하면서 활동 기한 연장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국회입법조차서는 지난 20일 현안분석 보고서 '다중운집 행사 안전관리의 문제점 및 향후 과제'를 발간하고 ▲주최자가 없는 행사에 대한 안전과리 당국의 책임 명확 ▲기초자치단체와 112·119 상황실 CCTV 연계 ▲경찰의 능동적·예방적 사무 원칙 확립 및 재난·안전 영역에서 역활 확대 고려 ▲체크리스트 방식의 다중운집 행사 안전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다중운집 예상 시 보행안전 대책 마련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