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식품업계 2022 결산] ③노사갈등으로 다사다난…폐업 선언부터 안전사고까지

서울 강남구 하이트진로 본사 점거 고공농성 현장./메트로 손진영

2022년 식품업계는 거리두기 해제로 활기를 되찾았지만, 각종 안전사고와 노사 갈등 등으로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다.

 

◆주류업계, 화물연대 파업

 

주류 업계는 올초부터 노사 갈등에 직면했다. 대표적으로 하이트진로는 지난 3월부터 6개월간 노사 갈등으로 골머리를 앓았다. 갈등은 하이트진로의 100% 자회사인 수양물류 소속 화물차주들이 화물연대에 가입한 후 운임 30%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하면서 시작됐다. 노사는 ▲운송료 5% 인상 ▲공장별 복지기금 1% 조성 ▲휴일 운송단가 150% 인상 등에 가까스로 합의하며 갈등을 일단락했다.

 

오비맥주도 지난 6월 화물연대 본부의 총파업으로 한 때 제품 출고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바 있다. 그럼에도 거리두기 해제와 주류업계 성수기인 여름철 마케팅 효과로 실적은 크게 개선됐다.

 

전국화학노동조합연맹 푸르밀노동조합이 일방적인 해고 통보에 투쟁하고 있다. /뉴시스

◆유업계, 침체된 시장 상황 속 노사 갈등

 

지속적인 우유 소비 축소로 유업계가 어려운 시장 상황에 처하면서 푸르밀과 서울우유협동조합도 큰 진통을 겪었다.

 

신동환 푸르밀 대표는 지난 10월 전사 메일을 통해 사업 종료와 정리 해고 통지문을 발송했다. 당시 직원들은 사측이 무능·무책임 경영으로 일관했다며 비난했고 푸르밀 대리점주와 회사에 원유를 공급해 온 농가들은 상경 집회를 벌였다.

 

사측과 노조는 수차례 협상을 단행했고, 결국 11월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기존 사업종료 발표를 철회하고 사업 정상화에 힘쓸 것을 약속했다. 신동환 푸르밀 대표는 흑자경영 달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한다는 비전을 밝혔다. 하지만 운영이 정상화되기까지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과 노조는 임금 인상을 둘러싸고 이견을 보이면서 갈등을 빚었다.

 

앞서 노조는 이달 7일부터 서울우유 본사와 전국 3개 공장에서 부분 파업을 벌였다. 파업 장기화로 인한 '우유 대란'까지 우려됐으나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면서 6일만에 파업이 종료됐다. 하지만 전반적인 유업계의 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

 

SPC 허영인 회장이 21일 서울 양재동 SPC 본사에서 진행된 SPL 안전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 및 재발방지대책 발표'에서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메트로 손진영

◆불매로 번진 안전사고

 

각종 안전사고도 끊이지 않았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올해 여름 e-프리퀀시 행사 증정품 서머 캐리백에서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논란을 빚었다. 알데하이드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이에 스타벅스는 지난 7월 공식 사과하며 자발적 리콜에 들어가는 등 수습에 나섰다.

 

10월에는 SPC그룹 계열 SPL 공장에서 20대 근로자가 기기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허영인 SPC 그룹 회장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안전경영 대책을 발표했다. 다음달인 11월에는 농심 부산공장에서 근로자 끼임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SPC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불매 운동으로까지 번졌다. 이후 허영인 회장은 사고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 후 향후 3년간 총 1000억원을 투자해 안전경영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실제 SPC는 지난달 21일부터 한국산업안전관리원, 대한산업안전협회, 안전보건진흥원, 한국안전기술협회 등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4개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총 29개 생산시설에 대한 안전 진단을 시행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