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日여행 노리는 카드사…'안전 마케팅'?

일본 관광객 대상 '대문' 활짝 열었다...엔저 때가 기회
'혜자카드', 무이자 할부 등 혜택은 축소 수순 밟고 있어

/뉴시스

주요 카드사들이 마케팅 축소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일본 여행객 잡기에 나섰다. 엔저 영향으로 일본으로 향하는 비행기가 늘어나자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선 것.

 

2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일본행 항공권 발권량이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11월 대비 140% 수준으로 회복했다. 우리카드 빅데이터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해외 항공권 발권량 상위 다섯 곳 중 세 곳이 일본(후쿠오카·오사카·도쿄)이다. 지난 10월 일본이 외국인 입국 금지 해제 카드를 빼들면서 국내 관광객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카드사도 일본 여행객을 위한 마케팅 비중을 늘리고 있다. 항공권 할인과 공항 라운지 혜택 등 '하늘길'을 공략한 마케팅은 카드사의 주력 상품·혜택이었다. 자금 경색으로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새로운 마케팅에 도전하기보다는 기존 혜택을 유지하려는 전략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11월 전업 카드사 7곳(신한·삼성·KB국민·롯데·현대·우리·하나카드)의 해외 이용금액은 1조631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최고치로 베트남, 필리핀 등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폭증한 지난 8월(8710억원)과 비교해도 2배 수준이다. 엔저 기조가 유지되면서 단순 여행뿐 아니라 쇼핑을 목적으로 일본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일본에 다녀온 직장인 이용(25·가명)씨는 "엔저 영향으로 수입산 명품부터 캐주얼까지 일본에서 구매하면 국내에서 사는 것 보다 싸게 살 수 있다"며 "최근 G사의 지갑을 사고 20만원은 아꼈다"고 설명했다.

 

카드사들이 해외여행 마케팅을 유지하는 반면 무이자 혜택, 혜자카드 발급 중단 등 본연의 혜택은 축소하고 있다. 자금경색이 이어지면서 조달이 여의치 않자 6개월 할부를 3개월로 축소하거나 일부 대형마트에서는 특정 카드사 무이자 할부를 더 이상 취급하지 않고 있다.

 

신용카드 중 혜택이 도드라지는 이른바 '혜자카드' 또한 신규 발급 중단 수순을 밟고 있다. 2020년 단종된 신용·체크카드는 202종으로 지난해에는 192종이 발급을 멈췄다. 올해는 지난 2분기까지 60종의 카드가 발급을 중단했다.

 

다만 카드발급 중단에 대해서는 금융소비자법 완화의 목소리도 등장한다. 카드사들은 상품 개발 후 3년 이내 혜택을 축소하거나 변경이 불가능하다. 3년이 지난 후에도 혜택을 축소할 수 없어 자금 상황이 여의치 않은 카드사들은 발급 중단을 선택하는 것.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조달비용 인상과 금융업 축소로 수익성 악화를 예상하는 시점에서는 마케팅 방식을 보수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시장 리딩보다는 안정성에 방점을 둬야할 시기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