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국내 연구팀, 위암 억제하는 새 단백질 발견…예방·치료에 효과

한림대학교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장대영·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김홍태·숙명여자대학교 생명시스템학부 김용환 교수(왼쪽부터)

국내 연구팀이 위암 발병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발견해 주목을 받고 있다. 위암의 예방·치료·예후 등에서 큰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장대영·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김홍태·숙명여자대학교 생명시스템학부 김용환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 위암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PWWP2B 단백질' 변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 변이를 막는 것 만으로 위암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동안 '유전체 불안정성'은 위암 발생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이에 관한 원인 유전자를 규명하거나, 관련 단백질과 염색체 이상에 관한 연구는 희박했다.

 

한림대성심병원 장대영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 위암 환자 258명에서 정상세포와 위암세포 총 516검체를 분석한 뒤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의 4%, RNA 시퀸싱 분석의 12%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되나 기능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PWWP2B 단백질'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위암 환자 25명에서 각각 정상세포와 위암세포 총 50검체를 엄선해 '전장액솜유전체분석'을 통한 체세포 유전자 변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PWWP2B 단백질은 세포의 핵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UHRF1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DNA 이중사슬 손상(DSB)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WWP2B 단백질에서 결핍·손상·복제 등 변이가 발생하면 세포민감성이 증가해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기전에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 즉, 체내 PWWP2B 단백질 변이가 일어나면 우리 몸은 손상된 DNA를 복구하지 못하고, 유전자 돌연변이가 축적돼 결국 위암으로 이어졌다.

 

또 전체 위암환자 25명 중 PWWP2B 단백질 변이가 발생하지 않았던 그룹의 평균전체생존기간은 58.6개월인 반면 PWWP2B 단백질 변이가 발생한 그룹은 그에 절반에 가까운 24.9개월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장대영 한림대성심병원 교수는 "PWWP2B 단백질은 위암의 정밀한 진단과 치료는 물론 예후를 예측하는 데도 중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엠보 리포트' 최근호에 게재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