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메신저 리보핵산(mRNA) 신약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모더나가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하며 주목을 받은 이 기술은 이제 코로나19를 넘어 항암 등 난치질환 치료제와 백신으로 발전하는 추세다.
5일 대웅제약은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 플랫폼을 개발하는 미국 바이오 벤처 온코러스와 지질나노입자(LNP) mRNA 의약품 공동 연구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사는 온코러스가 보유한 자체 LNP 플랫폼을 활용해 대웅제약의 mRNA 항암신약에 최적화된 제형을 찾아 정맥 투여 방식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온코러스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앤도버에 있는 첨단 제조시설에서 LNP 제제의 제조, 생산 및 최적화를 담당하고, 대웅제약은 비임상 개발을 포함한 임상 과정 및 상업화를 진행한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온코러스의 우수한 LNP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mRNA 항암신약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며 "독자적인 LNP 플랫폼 보유사인 온코러스와 연구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통해 차세대 mRNA 신약을 개발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에스티팜과 SK바이오팜, GC녹십자 등 기업도 mRNA 플랫폼을 활용한 백신·치료제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에스티팜은 현재 mRNA 플랫폼 스마트캡(SmartCap)과 스마트LNP(SmartLNP)를 보유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모더나, 화이자 등이 사용하고 있는 제네반트의 LNP 기술과 특허 출원한 5프라임 캡핑 mRNA 플랫폼 기술을 적용해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해에는 미국 샌디에이고에 신약개발 전문 바이오텍인 '레바티오 테라퓨틱스'를 설립하고,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대표로, 항암·면역학 분야 글로벌 전문가인 지현배 박사를 영입해 선임한 바 있다. 레바티오는 원형 RNA 및 CAR-NKT 플랫폼을 구축하고 면역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치료제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에스티팜은 레바티오를 통해 유전자치료제 및 세포치료제 CDMO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역시 국제기구들과 함께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다양한 백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해 빌&멜린다게이츠재단과 mRNA 백신 플랫폼 구축을 목적으로 협업에 나서며 연구개발비 200만 달러(약 28억원)를 지원받고,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활용해 mRNA 플랫폼의 전임상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어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으로부터 최대 1억4000만달러(약 2000억원)을 지원받아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라싸열 바이러스를 mRNA 백신 플랫폼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mRNA 플랫폼을 활용해 기존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호흡기융합바이러스(RSV) 백신, 거대세포바이러스(CMV) 백신, 항암 백신 등 신규 파이프라인에도 적용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힐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지난해 캐나다 소재의 LNP 전달 시스템 개발 전문기업 아퀴타스 테라퓨틱스가 보유한 LNP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GC녹십자는 이를 통해 독감 백신과 희귀질환 치료제등의 신약개발을 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2017년 말부터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mRNA를 낙점하고 관련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