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두번째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레켐비(Leqembi)'가 긴급 승인을 받자 국내에서 개발 중인 치매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레켐비가 출시되면 현존하는 유일한 치매 치료제가 될 전망이지만 아직까지 치명적인 부작용 우려를 안고 있어 국산 치료제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3300만원 치매 치료제 나온다
8일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6일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파트너사인 에자이가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을 가속 승인했다고 발표하며 상용화를 예고했다. 미국에서 레카네맙은 레켐비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며, 연간 2만6500만달러(약 3300만원)의 가격이 책정될 예정이다.
레켐비는 바이오젠과 에자이가 개발해 2021년 6월 미국에서 승인된 '아두헬름'에 이은 두번째 의약품이다. 세계 첫 치매치료제이던 아두헬름은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지만, 뇌부종과 뇌출혈 등의 부작용으로 임상을 중단하며 사실상 퇴출됐다.
알츠하이머는 치매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이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축적되는 아밀로이드라는 독성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의약품으로, 2주마다 정맥 주사되는 형태다.
1800명의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 절반에 레켐비를 투여한 결과, 투여 환자들의 인지기능 저하가 18개월 동안 27%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력, 판단력, 문제 해결 등으로 측정하는 인지 기능 점수는 레켐비 투여 그룹에서 평균 1.21점으로 치료 받지 않은 그룹(1.66점)보다 소폭(0.45점) 높았다.
진행을 소폭 늦추는 반면, 부작용은 꽤나 치명적이다. 임상 결과, 레켐비 투여 그룹의 약 13%에서 뇌 부종이 발생해 위약 투여 그룹(2%)에 비해 가능성이 크게 높았다. 또한 레켐비를 투여받은 그룹의 약 17%에서 뇌출혈이 발생한 반면, 치료를 받지 않은 그룹은 9%에 그쳤다. 시카고 지역에서 임상 시험에 참여했언 65세 뇌졸증 환자는 세번째 리켐비 주입 후 광범위한 뇌출혈로 사망해 우려를 낳는다.
FDA는 레켐비의 효능과 안전성을 결정하기 위해 더 긴 임상 시험이 필요할 것이라고 평가했으며, 레켐비의 처방 정보에 부종과 출혈 위험에 대한 경고를 포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산 치료제 가능성 '충분'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치매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개발 중인 치료제는 경구용이고, 치매 진행 억제뿐 아니라 인지기능 개선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어 가능성을 높인다.
국내 기업 중 가장 속도가 빠른 곳은 아리바이오다. 아리바이오는 지난 4일 경구용 치매치료제 'AR1001'의 임상 3상에서 첫 환자 투약이 개시됐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 3상은 미국 전역 약 75개 치매임상센터에서 모집하는 총 8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52주간 이루어진다.
AR1001은 단순히 아밀로이드를 타깃하는 치료제와는 달리 알츠하이머병의 진행 억제와 환자의 기억력과 인지기능을 높이는 다중기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다. 특히 하루 한 알 먹는 경구용 알약으로 치매 환자의 복용 편의성도 갖췄다.
젬백스앤카엘 역시 알츠하이머 치료제 'GV1001'에 대한 국내 임상 3상, 미국과 유럽 7개국에서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지난 달 GV1001은 스페인과 폴란드에 이어 네덜란드에서도 임상 2상 승인을 받았다. 또한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핀란드에서도 신청 절차를 진행 중이다. GV1001은 한국 임상 2상에서 중등증과 중증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다.
지엔티파마 역시 '크리스데살라진'이란 특허 물질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 하고 있다. 크리스데살라진은 노화와 퇴행성 뇌신경질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염증 매개 물질 생성을 차단하는 다중 표적 합성신약이다.
크리스데살라진은 알츠하이머 치매 세포배양모델과 동물모델에서 치매의 독성발현경로로 알려진 ATN(A: 아밀로이드 플라크, T: 타우병증, N: 뇌신경세포 사멸)을 줄이는 효과를 입증했다. 특히 사람의 알츠하이머 치매와 유사하다고 보고된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에서 확연한 안전성과 약효를 검증해 지난 해 국내 첫 반려견 치매 치료제인 '제다큐어 츄어블정'을 승인 받아 기대를 높인다.
지엔티파마 관계자는 "지금까지 시도된 치매 치료제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에만 작용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알츠하이머의 진행을 늦추는 수준에 그친다"며 "인지기능장애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세계 첫 치매 치료제 개발 가능성은 아직 충분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