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새벽 2시 철거...尹 풍자 전시회 '표현의 자유' 논란

국회가 새해부터 '표현의 자유' 논란으로 시끄럽다. 국회 사무처가 9일 새벽 2시께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전시를 준비하던 풍자작품 80여점을 철거했기 때문이다. 풍자작품 중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풍자한 작품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주최 측 제공

국회가 새해부터 '표현의 자유' 논란으로 시끄럽다. 국회사무처가 9일 새벽 2시께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전시를 준비하던 풍자 작품 80여점을 철거했기 때문이다. 작품 중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풍자한 작품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강민정·김승원·김영배·김용민·양이원영·유정주·이수진·장경태·최강욱·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윤미향·민형배 무소속 의원 등은 '2023 굿바이전 인 서울'을 서울민족예술단체총연합과 굿바이전 조직위원회와 공동주최하고 9일부터 13일까지 의원회관 1층 로비에 전시할 예정이었다. 이들은 철거 소식이 알려지자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작품을 철거한 국회 사무처를 비판했다.

 

이들은 "풍자로 권력을 날카롭게 비판하겠다는 예술인의 의지를 강제로 꺾었다"며 국회 사무처의 결정을 규탄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윤 대통령을 풍자한 고교생의 작품이 제23회 전국학생만화공모전 카툰 부문에서 금상을 차지하자 엄중 경고를 내린 것과 가수 이랑 씨가 지난해 부마항쟁 기념식에서 부르기로 했던 '늑대가 나타났다'가 행정안전부의 문제 제기에 취소되는 등 윤석열 정부는 출범 이후 표현의 자유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국회가 새해부터 '표현의 자유' 논란으로 시끄럽다. 국회 사무처가 9일 새벽 2시께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전시를 준비하던 풍자작품 80여점을 철거했기 때문이다. 풍자작품 중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풍자한 작품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국회

국회사무처는 '국회의원회관 회의실 및 로비 사용 내규'를 들어 전시 작품을 철거했다고 밝혔다. 내규 제6조 5항에 따르면 '특정 개인 또는 단체를 비방하는 등 타인의 권리, 공중도덕, 사회윤리를 침해할 수 있는 회의 또는 행사로 판단되는 경우'엔 회의실 및 로비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을 수 있다. 국회사무처는 민형배 의원실과 주최 측에 8일 밤까지 내규를 들어 전시작품을 철거해 달라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

 

민주당 출신인 이광재 국회 사무총장은 이날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가 끝나고 나면 적당한 시기를 선택해서 전시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의원들의 공감대가 있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과 김 여사의 풍자 작품이 다수 전시될 뻔한 사실에 공동주최 측를 강력하게 규탄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민주당 의원들이 윤석열 정권 풍자라는 명분으로 대통령과 대통령 배우자를 비방하는 그림 전시회를 국회에서 주최하려 했다니, 충격과 경악을 금할 수 없는 일"이라며 "민주당이 거리를 넘어 국회 안에서도 대선 불복을 하겠다는 노골적 선전포고가 아니고서야, 민의의 전당에서 전시될 수 없는 그림들"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국회 의원회관 전시는 이전 국회에서도 논란이 된 바 있다. 박근혜 정부 시기였던 2017년 표창원 전 민주당 의원실은 박 전 대통령이 나체인 상태로 침대에서 잠을 자고 있는 모습의 풍자화를 전시했는데, 표현의 자유를 넘어서서 여성성을 조롱했다는 비판이 커지면서 당 윤리심판원은 표 의원에게 당직 자격정지 6개월의 징계를 내린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