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이태원 참사 생존자·유족 참여 공청회, "철저한 진상규명이 해답"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 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공청회에서 참사 생존자 김초롱(왼쪽 두번째)씨가 진술인으로 나와 진술하고 있다. / 뉴시스

10·29 이태원 참사 생존자와 유가족들이 국회를 찾아 159명의 희생을 막지 못한 정부를 규탄하면서, 철저한 진상규명만이 해답이라고 강조했다.

 

10·29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는 12일 2차 공청회를 열고 당시 생존자, 유가족, 지역 상인의 진술을 들었다.

 

참사 당시 이태원을 찾았다가 인근 상인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생존자 김초롱 씨는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김 씨는 "저에게 2차 가해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한덕수 국무총리 그리고 몇몇 국회의원들의 말이었다"며 "참사 직후 이 장관의 브리핑을 보며 무너져내렸다. 이 장관은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는 이 말을 놀러 갔다가 죽은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고 이 장관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몇주 전 고등학생 생존자가 스스로 세상에 작별을 고했을 때, 스스로 잡고 있던 끈을 놓칠뻔 했다"며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 의사를 찾았고 약의 용량을 늘렸다. 한 총리가 '본인 생각이 좀 더 굳건하고 치료를 받겠다는 생각이 더 강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말한 것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 씨는 "진상규명만큼 중요한 치유는 없다"면서 "결국 바뀌지 않은 사회와 쏟아지는 망언이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었다. 자신의 무지함과 비열함에 스스로 열등감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사 당시 친오빠를 잃은 조경선 씨는 참사 이후 정부의 무책임한 유가족 대응과 정보 공유 미흡을 질타했다.

 

조 씨는 "부실 수사와 수사 방치에 진절머리가 나고 치가 떨린다. 지금도 오빠의 행적을 모르고 우리 오빠를 수사해주는지 알 수 없다"며 메인 목소리로 말했다.

 

조 씨는 "2차 가해 관련해서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저에게 있어 제일 큰 2차 가해는 아무것도 도와주지 않고 있으면서 앞에서는 책임을 다했다는 정부와 공무원 그리고 몇몇 일부 의원"이라며 "국가가 해선 안 되는 이간질로 인해 큰 상처를 받았다. 유가족들이 원하는 부분이 왜곡되고 선동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간질로 입은 상처로 저는 극심한 정신적, 심리적 고통을 느끼고 있다"며 "아직까지도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못하고 사람도 만나지 못한다. 몇번이고 정상적인 일상을 해보려고 해도 항상 제자리로 돌아온다"며 "지금 이자리도 저에겐 트라우마다. 어떤 응급조치를 받았는지, 왜 사고가 일어났는지 알려줬다면 유가족협의회를 구성할 일도 전혀 없었을텐데 성숙하지 못한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국민들을 상대로 이간질을 하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