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애플, 디스플레이 공급망도 재편한다…K 디스플레이 미래는

애플워치가 내년부터는 마이크로 LED를 탑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OLED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애플워치4 /애플

애플이 디스플레이도 자체 생산할 수 있다는 전망이 산업계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 현실적으로는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애플이 새로운 협력사를 찾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디스플레이 산업도 반도체 산업처럼 전폭적으로 지원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모습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애플이 내년 말 출시할 애플 워치 울트라에 이어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제품으로 자체 생산한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연달아 보도했다.

 

2017년부터 시작한 'T159'라는 프로젝트가 결실을 이뤘다는 것. 이 프로젝트는 마이크로 LED를 양산하는 내용으로, 애플은 2014년 스타트업 럭스뷰를 인수한 후 꾸준히 연구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 LED는 OLED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불린다. 자체 발광 소자를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OLED보다 훨씬 휘도가 높고 번인 현상도 없다.

 

애플이 디스플레이를 중시해왔던 만큼, 마이크로 LED 도입 가능성은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애플은 스마트폰 초기 고밀도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레티나'라는 이름으로 마케팅 요소로 사용해왔다. 최근 필수가 된 가변 주사율 디스플레이 기술 LTPO도 애플의 특허 중 하나다.

 

삼성전자 마이크로 LED TV. /삼성전자

애플이 디스플레이를 내재화한다면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 피해가 불가피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매출 중 30% 이상을 애플에 의존하고 있고, LG디스플레이도 애플 비중을 높여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 주가도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문제는 애플이 마이크로 LED를 직접 양산할 수 있을지 여부다. 마이크로 LED는 이미 일부 업체에서 양산되고 있지만, 비용이 높아 제대로 상용화하지는 못한 상황이다. 마이크로 LED를 만드는 것뿐 아니라 수많은 픽셀을 붙이는 '전사' 작업이 아직 고도화하지 않아 가격을 낮추기 어렵다고 알려져있다. 연구용 외에는 그렇다할 디스플레이 팹도 갖고있지 않은 애플이 섣불리 양산에 나서기는 어려운 분야라는 얘기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애플이 자체적으로 양산하기보다는 지금과 같이 생산성이 높은 업체에 위탁 생산할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 BOE가 새로운 공급 업체로 거론되고 있다. BOE는 애플에 OLED 디스플레이 공급을 논의한 바 있으며, 최근 마이크로 LED를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BOE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를 제치고 최대 협력사로 거듭날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BOE가 아직 기술적으로 크게 부족하다는 게 중론이다. 아직 OLED 부문에서도 기술력이 크게 떨어지는 만큼, 더 어려운 기술인 마이크로 LED로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애플을 충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부 해외 전문 매체들은 LG디스플레이가 마이크로 LED를 공급할 업체로 선정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애플이 다시 '공급망 흔들기'를 시작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새로운 협력사를 키워 협상력을 높이는 전략으로, 애플은 일찌감치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서도 TSMC와 삼성전자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온 바 있다. 부품에 불과했던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모바일에서는 그만큼 중요성이 높아졌다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이에 따라 중국이 '디스플레이 굴기'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반도체 육성이 좌절된 대신, 디스플레이로 새로운 활로를 개척할 수 있다는 것. 이미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이 중국에 2~3년 내로 따라잡힌 것으로 알려져있다. 디스플레이가 최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되면서 다시 투자 여력을 확보하긴 했지만, 여전히 위기감은 사그러들지 않는 모습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