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벤젠 등 화학물질 기업 2년새 20% 증가…제조·수입량도 늘어

환경부, 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2020년 기준, 업체 3만7107곳…6억8680만t 유통
유해화학물질 제조·수입량 2.8% 증가

2018-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비교. 자료=환경부

벤젠 등 국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2년새 20%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학물질 유통량은 같은 기간 7.6% 증가했고, 황산 등 유해화학물질 제조·수입량도 늘어났다.

 

환경부가 17일 발표한 제4차 화학물질 통계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은 총 3만7107곳, 여기서 3만1600종의 화학물질을 6억8680만t 유통했다.

 

직전 조사인 2018년과 비교할 때 취급업체 수는 19.9%, 화학물질 종류는 7.1%, 유통량은 7.6% 각각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여수국가산업단지 등 대규모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이 자리한 전남이 29.6%로 제조·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었다. 이어, 울산(24.4%), 충남(18.8%) 등 상위 3개 지역에서 전체 제조·수입량의 72.8%인 5억9089만t을 차지했다.

 

취급형태별로는 2018년 대비 제조량 8.2%(3489만t), 수입량 5.6%(1859만t), 수출량 4.1%(487만t)로 각각 증가했다.

 

벤젠과 황산, 수산화나트륨 등이 포함된 유해화학물질 1413종의 제조·수입량은 7936만t으로 2018년 대비 2.8% 증가했다.

 

페트병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파라 자일렌과 시너의 원료가 되는 톨루엔 등의 제조·수입량은 줄었다. 냉각제나 반도체 세척제, 수소연료전지의 원료가 되는 메틸알코올(메탄올)의 수입량은 늘었다.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는 화학물질안전원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14년부터 2년마다 화학물질 통계조사를 내고 있다. 화학물질 취급업체 증감과 제조·사용·수출입되고 있는 화학물질을 파악해 화학사고 대응·예방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 중이다.

 

신건일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장은 "2018년 대비 화학물질의 제조, 수입, 유통량이 증가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화학물질의 유통 및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며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화학물질 관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마련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