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현대차그룹, 전기차 시장 달라진 위상…한국과 일본 격차 심화

현대차 아이오닉 5.

현대자동차그룹이 친환경자동차 시장에서 위상이 달라지고 있다.

 

과거 현대차는 수십년 동안 내연기관자동차 시장에서 팔로워에 불과했지만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는 '퍼스트 무버'의 입지를 공고히하고 있다. 특히 내연기관 시대에 '고장없이 오래타는 차'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도요타를 넘어서는 분위기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2011년 첫 전기차 출시 이후 지난해까지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누적 판매 대수는 102만2284대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포함해 60만1448대, 기아는 42만836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인 테슬라와 BYD의 누적 판매량은 각각 364만9007대, 337만대로 현대차그룹에 비하면 3배 이상 많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의 순위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첫 전기차인 블루온을 시작으로 쏘울 EV·아이오닉5·EV6·GV60·아이오닉6 등 전기차 모델을 15종으로 확대하며 미국과 유럽, 국내 등에서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전년 대비 196.2% 증가한 5만8028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순위로는 테슬라(49만1000대)와 포드(6만1575대)에 이은 3위다.

 

현대차그룹은 2014년만 해도 2437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는데 만족했지만 2015년 1만1063대로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2018년 코나 일렉트릭과 니로 EV를 선보이며 6만1964대, 2019년 10만1362대, 2020년 17만81632대, 2021년 25만2718대, 2022년 37만1838대로 매년 성장을 이어갔다. 이같은 성장에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아이오닉 5, EV6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들 모델은 넓은 실내공간과 1회 충전으로 500㎞ 이상의 뛰어난 주행거리를 장점으로 갖추고 있다.

 

기아 EV6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도 현대차그룹은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 유럽에서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14만3460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현대차그룹은 2014년 쏘울 EV를 내놓고 그해 662대의 판매량을 거두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후 출시한 니로 EV와 코나 일렉트릭, 아이오닉5 등 주요 차종이 한해에만 3만대 이상의 판매량을 거두며 성장을 이끌었다. 2019년 4만3455대였던 전기차 판매량은 2020년 9만5917대, 2021년 13만5408대 등으로 급증했다.

 

국내 시장에서도 전기차 10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지난해 11만9791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며 국내 완성차 가운데 97%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3년 새 5배 증가한 것이다.

 

다만 현대차와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 시장에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일본 브랜드는 전기차 시장에서 고전하는 모습이다.

 

도요타는 지난해 첫 양산형 전기차 '비지포엑스'(bZ4X)를 전량 리콜하며 자존심을 구겼다. 리콜 대상 bZ4X 2700대이며, 유럽과 북미, 일본 등에서 진행됐다. 도요타가 bZ4X를 리콜하기로 한 것은 차량과 타이어를 연결하는 볼트에 문제가 있어 타이어가 이탈할 가능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하이브리드 차량 개발에 집중했던 도요타가 전기차를 내놓으며 전략 변화에 나섰지만 제품 품질 문제에 발목이 잡혔다.

 

혼다도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혼다는 2040년까지 모든 차량 생산을 전기차로 대체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를 위해 전기차와 연료전기차 판매 비율을 2030년 40%, 2035년 80% 비율로 높이고, 6년 동안 5조엔을 투입해 전기차 전용 공장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