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글로벌 車 업계 전기차 판매 경쟁…소비자는 여전히 불안

"전기차 대세지만 구매는 시기상조 같아요."

 

최근 정부 지원금 등의 혜택을 두고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던 김모씨(43)는 오랜 고민 끝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했다. 김씨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잇따라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면서 차량의 선택폭은 넓어졌지만 충전 인프라와 AS 등을 고려하면 여전히 전기차는 부담이라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김씨처럼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과 차량 정비 등에 따른 소비자들의 부담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정부 지원과 완성차 업계의 신차 출시로 판매량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전기차 누적 대수는 39만대로 전년 대비 68.4% 증가했다.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도 2018년 2만7352기에서 지난해 20만5205기로 8배 가까이 늘었다. 단순 수치만 놓고 보면 전기차 충전소도 넉넉한 수준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 고속도로나 도심에 설치된 충전소를 보면 충전이 가능한 기기는 몇개 없다. 부품 결함으로 충전 기능을 못한 채 방치된 제품도 수두룩하다.

 

이번 설 연휴 이같은 문제는 여실히 드러났다. 고속도로에서 '충전소 레이스'를 펼친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였다. 설 연휴 동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배터리 충전에 애를 먹는 차주들의 이야기가 소개됐다. 여기에 겨울철에는 배터리 충전 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운전자들의 부담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성능을 유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전기차 보급에 따른 부작용은 확대되고 있지만 완성차 업체들은 시장 점유율 확대에만 집중하는 모습이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메르세데스-벤츠, BMW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올해 국내 시장에서 다양한 전기차를 출시하고 시장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400㎞가 넘는 주행거리와 첨단 기술, 혁신 디자인을 채택한 전기차의 등장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흔들기 충분하다.

 

하지만 완성차 업체들은 충전 인프라 구축에 대해서는 차치해도 배터리 기술 등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한 곳도 찾아보기 힘들다. 안정적인 시장 형성을 위해 당장 전기차를 판매하기보다 전기차 기술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