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카드사 건전성 확보 총력…우량고객 확보 매진

이달에만 연회비 20만원 이상 '프리미엄 카드'3종 출시
고신용 차주 확보해 연체전이율↓ 건전성↑, '일거양득'

카드 업계의 고신용 차주 확보 움직임이 활발하다./뉴시스

카드업계가 우량 고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연회비만 20만원이 넘는 '프리미엄 카드'를 공개하며 높은 신용등급의 차주 잡기에 나서고 있다. 경기 한파가 지속하는 만큼 리스크관리에 방점을 두고 있는 모습이다.

 

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카드사들이 프리미엄 카드를 두고 맞불을 놓고 있다. 프리미엄 카드를 통해 우량 고객 확보에 나선 것이다. 경제력을 갖춘 고객을 유치하면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장·단기 카드대출 서비스 또한 고신용 차주 대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다.

 

프리미엄 카드의 경우 높은 수준의 연회비를 지불하는 만큼 지속성과 충성도가 높다. 카드사 입장에서 골칫거리로 작용하는 휴면카드 발생 예방과 연체전이율 해소를 동시에 꾀할 수 있다.

 

국내 휴면카드 비중./여신금융협회

실제로 휴면카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분기 1373만6000장 수준이었던 휴면카드는 1년 사이 1555만5000장으로 늘었다. 휴면카드의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은 약 18% 수준이다. 신용카드 5~6장 중 한 장꼴로 휴면카드인 셈이다. 고신용 고객을 확보하면 연체전이율 또한 해소할 수 있다. 연체 기간이 30일 이상 60일 미만으로 진입하는 차주가 많을수록 연체전이율이 높아지며 카드사의 건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 프리미엄 카드의 경우 경제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빈도가 높은 만큼 연체 가능성이 낮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이후 카드사들은 매년 건전성에 무게를 두고 연체전이율 상승 만큼은 막아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달에만 전업 카드사 8곳(신한·삼성·KB국민·롯데·현대·우리·하나·비씨카드) 가운데 3곳에서 프리미엄 카드를 출시했다.

 

현대카드는 '더레드 스트라이프'를 출시했으며 KB국민카드는 5년 만에 '헤리티지'라는 새 브랜드를 선보였다. 롯데카드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플래티넘 비즈니스 카드'를 출시하면서 법인카드 시장을 공략했다. 세 카드 모두 20만~70만원의 연회비를 내야 한다.

 

신용카드사의 우량 고객 모시기는 지난해 하반기를 시작으로 본격화했다. 기준 금리가 가파르게 치솟으며 상승한 조달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우량 고객 확보에 나선 것이다.

 

지난해 상반기 카드론 금리는 금융 시장에서 유일하게 역행했다.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에도 오히려 대출 금리를 인하한 것이다. 이 또한 사전에 저금리로 조달한 자금으로 대출을 단행한 것에 기인한다.

 

일각에서는 '서민들의 급전창구'가 무색해졌다며 하소연하는 목소리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카드사 또한 법정최고금리가 20%로 제한된 현 상황에서 저신용 차주 대출은 고육지책이라는 의견이다.

 

올해 카드사의 만기도래채권 또한 건전성 관리의 필요성을 더한다. 올해 카드사의 만기도래 채권은 36조원에 달하며 다음 해까지 합하면 약 61조원의 만기도래 채권이 발생한다.

 

한 여전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우량 차주 확보에 나서고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며 "건전성을 확보해야 가성비 높은 상품을 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