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인도, 중국 대신할 글로벌 생산기지…중국·아세안 편중 공급망 다변화해야

인도, 올해 인구 14만명 넘어 1위 인구 대국 전망…내수기반 강화
IT 아웃소싱·기업 인센티브 강화…서비스업·제조업 성장세 뚜렷

인도가 중국을 대신할 생산기지로 떠오르고 있다./유토이미지

인도가 중국을 대신할 생산기지로 떠오르고 있다.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거대소비시장을 만들고 양질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계·설비, 소재·부품 등의 인도 판로를 개척하고, 중국·아세안 등에 편중된 공급망을 인도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인도경제 현황과 성장잠재력 및 리스크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러시아 간의 갈등으로 중국의 역할이 축소되는 가운데 인도가 대체 생산기지로 부각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인도의 연평균 성장률을 6.8%로 내다봤다. 중국의 연평균 성장률(4.9%)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중국-인도 인구전망/통계청

◆인도, 제조업 성장 전략 강화

 

중국 대체 생산기지로 인도가 떠오르는 주요한 이유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유엔(UN)은 인도의 인구가 올해 14억명을 넘으면서 중국을 제치고 1위 인구 대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구가 증가하면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높아지는데, 부양부담이 축소된 이들이 소비와 투자를 늘려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인도정부도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인도는 지난 2017년부터 상품 및 서비스세금(GST)을 도입하고, 수출입서류를 11개에서 3개로 간소화했다. GST는 중앙정부와 주정부가 서로 다른 세율로 부가하던 17개 간접세를 하나로 통합한 세금제도다. 주별로 세금을 다르게 부과하면서 지역간 이동시 세금징수가 발생하던 불편함을 최소화한 것이다.

 

법인세도 30%에서 22%로 인하했다. 실효세율은 기존기업의 경우 35%에서 25%로, 신생제조업체는 25%에서 15%로 하락했다.

 

물류 인프라도 개선하고 있다. 인도는 델리, 뭄바이, 첸나이, 콜카타, 방갈로 등 주요도시를 고속철도와 고속도로로 연결하고 항만 및 공항시설을 현대화했다. 모건스텐리에 따르면 인도의 도로는 2001년 2274㎞에서 지난해 6388㎞로 2배 증가했고, 철도를 연장해 전철화가 이뤄진 곳도 같은 기간 24%에서 80%로 확대됐다.

 

이 밖에도 인도정부는 지난 2020년 휴대전화, 태양광 발전모듈, 배터리 등 중요산업기업에 매출증가금액의 4~6%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2020년 중후반까지 지급된 금액은 2조5000억원 루피(한화 약 38조1250억원) 규모다.

 

해외직접투자 유입규모, 인도 자동차 생산대수/한국은행

◆인도로 몰려드는 기업들

 

이에 따라 중국 내 생산기지를 둔 기업들도 하나 둘 씩 인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간 힘겨루기가 지속되자 시장 다변화와 공급망을 확대하려는 기업이 인도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말 애플(Apple)의 위탁생산업체 폭스콘(Foxcoon)은 2년내 인도 아이폰(iPhone) 공장의 인력을 1만7000명에서 7만명으로 4배 확대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Apple의 인도생산비중은 현재 5%에서 2025년 25%까지 확대된다.

 

인도를 IT 아웃소싱 기지로 활용하는 기업도 늘었다. 인도공과대학에서 배출된 우수기술인력이 많고,영어 인구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IT-BPO 사업은 지난 2003년부터 2007년 연평균 35.3% 증가하며 인도경제의 성장을 이끈 뒤, 2010년 이후 10%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IT-BPO는 콜센터, 회계, 인사관리 등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일부를 외부업체에 위탁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업에 이어 제조업까지 기업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중장기적으로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란 분석이다.

 

인도 IT-BPO 아웃소싱 매출액 및 서비스업 수출액/한국은행

◆인도진출 한국기업 56개…지원책 필요

 

한국은행은 중국·아세안 등에 편중된 공급망을 인도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가 인도에 직접투자한 금액은 2억9000만달러로 중국(62.2억달러), 베트남(17.8억달러)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인도에 진출한 기업은 지난 2014년 39에서 2019년 130개로 증가한 뒤, 코로나19 확산으로 56개로 감소했다.

 

수출품목을 다변화해 인도 내수시장 공략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와 인도는 경제동반자협정(CEPA)를 체결한 상태다. CEPA는 한국과 인도간 무역자유화를 위한 협정으로 상품 무역 이외에도 서비스와, 투자, 경제협력 등 FTA보다 넓은 경제협정을 의미한다.

 

다만 한-인도 CEPA를 통해 특혜관세 혜택을 받은 수출 비중은 77.8%로 미국(85.1%), 유럽연합(87.7%), 영국(90.2%)로 낮은 수준이다. 인도의 인터넷보급률은 현재 47%에서 2031년 65% 확대되고, 이와 함께 온라인쇼핑, E-커머스 시장도 같은 기간 510억달러에서 2260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개정협상을 통해 수출활용률을 높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인도의 경우 중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평가되지만, 환경오염과 인프라부족, 규제 등은 리스크 요인으로, 특히 정부규제와 비친화적인 기업환경은 우리기업 진출을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인도에 진출한 국내기업이 현지 정부규제, 생소한 기업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