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임종룡 '조직쇄신' 강조…우리금융 계열사 CEO인사 촉각

그룹자회사 14곳 중 10곳 CEO 임기 만료
임 내정자 성향 '파격 인사' 가능성 높아
이원덕 은행장 조기퇴진 가능성은 '미미'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뉴시스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그룹 차기 회장으로 내정되면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교체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권에선 임 차기 회장이 조직혁신을 강조한 만큼 파격적 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부에선 안정 속 혁신을 위해 기존 CEO를 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 자회사 14곳 중 10곳의 CEO 임기가 대거 만료됐다. 지주 회장 선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계열사 CEO와 은행 임원 인사가 계속 미뤄졌다.

 

김정기 우리카드 대표를 비롯해 박경훈 우리금융캐피탈 대표, 김종득 우리종합금융 대표, 이창재·김영진 우리자산신탁 대표, 신명혁 우리금융저축은행 대표, 고영배 우리펀드서비스 대표, 김경우 우리PE자산운용 대표, 최광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 등이다.

 

우리금융 지주 자회사 CEO 임기 현황/

현재 계열사 대표들은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때 선임됐기 때문에 교체에 무게가 실린다.

 

임종룡 내정자 역시 입장문을 통해 조직쇄신과 새로운 기업문화 정착 등을 제시하면서 대규모 계열사 임원진 물갈이를 예고했다. 회장 교체기에는 내정자의 의중이 상당 부분 반영된다.

 

우리금융은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사이의 파벌 다툼, 오랜 기간 정부 소유의 회사였던 만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인물이 낙점 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 NH농협금융 회장이었던 임 내정자는 농협 역사상 처음으로 지점장을 부행장으로 전격 발탁한 바 있다. 또한 지주사와 계열사의 경영진 15명 중 11명을 대거 교체하면서 '전문성' 중심 인사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당시 임 내정자는 "사업을 능동적으로 착수하겠다는 의지와 더불어 본부 중심에서 현장 중심으로 인력풀을 폭넓게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는 임 내정자의 인사 성향을 봤을 때 파격적으로 여성 및 젊은 임원 인사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우리금융의 경우 타 금융지주사에 비해 여성 임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권숙교 전 우리FIS 대표가 2010년 그룹 내 첫 여성 CEO로 올라 2013년 3월 임기를 마친 뒤 9년이 넘도록 여성 CEO가 등장하지 않고 있다. 여성 임원은 송현주 우리은행 부행장 한 명이다.

 

다른 금융지주의 경우 KB금융지주는 증권업계 첫 여성 CEO인 박정림 KB증권 대표와 조순옥 KB신용정보 대표가 있다. 신한금융은 조경선 신한DS 대표, 하나금융은 노유정 하나펀드서비스 대표가 이름을 올리고 있다.

 

가장 큰 관심사는 작년 3월 취임해 올해 임기가 만료되는 이원덕 우리은행장의 교체여부다.

 

2013년 당시 임 내정자는 신충식 농협은행장의 임기가 남아있음에도 김주하 농협금융지주 부사장을 은행장으로 단독 추천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선임된 지 1년 밖에 되지 않은 만큼 임기를 채울 것이란 분석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손태승 회장과 임종룡 내정자 간 숙의 과정을 거친 이후 인사가 단행될 것"이라며 "이원덕 행장 교체는 노조 반발을 불러올 수 있어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지만 파격적 인사를 선호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 계열사 CEO 가운데 한 명을 행장으로 전격 선임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영업이나 기획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CEO가 은행장이나 우리금융지주 요직에 오를 수 있다는 것.

 

실제로 우리금융은 이순우 전 회장 이후 이광구 전 행장, 손태승 회장으로 급격히 세대가 교체되면서 부행장급 임원들이 대거 물러나 차기 주자로 나설 사람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계열사 CEO가 연임되거나 지주나 은행쪽으로 재등판하더라도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