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주담대 금리 하단 3%대? 신규대출 문턱 낮아지나

신규대출자 주담대 3%~4%대
기존대출자는 적용안돼...상반기 지나야 인하 체감될듯
대출 갈아탈 때 수수료 없는'특례보금자리론' 추천

대출 금리 산정의 지표로 쓰이는 코픽스가 11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영향으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내려갈 전망이다. 은행연합회는 지난해 12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4.29%로 집계했다고 공시했다.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주택담보대출 상품 안내문이 붙어 있다./뉴시스

#. 올해 신혼집을 사기 위해 준비중인 안 모(33·남) 씨는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신혼집을 마련해야 할 지 고민이다. 지난해 말 8%대까지 치솟았던 금리가 4%대까지 하락하면서 이자 부담이 줄어 들고 있는 데다 앞으로 대출금리는 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다.

 

최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하단이 4%대까지 내려간 데 이어 3%대에 다가서면서 신규 대출자들의 문턱이 낮아지고 있다. 은행들의 대출금리가 줄줄이 인하되고 있는 이유는 금융당국이 '이자 장사'를 비판한데 이어 은행채 5년물 금리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의 주담대 고정형(혼합형) 금리는 연 4.20~6.21%로 집계됐다. 주담대 변동형 금리는 4.86~6.40%다.

 

올해 초 최고 8%를 돌파했던 주담대 변동금리 상단은 2개월 만에 1.71%포인트(p) 급락했다.

 

KB국민은행의 'KB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신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12개월 기준 5.34~6.74%다. 신한은행의 '신한주택대출' 금리는 4.92~5.82%다. 하나은행의 '하나원큐주택담보대출'은 6개월물 금융채 기준 5.659~6.259%다.

 

우리은행의 아파트촌(일반자금)은 신잔액 코픽스 12개월 기준 5.60~6.40%다. 농협은행의 주담대는 4.31~6.21%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6일 기준 인터넷 은행에서는 3%대 주담대 상품도 등장했다.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혼합형 상품 금리는 3.98~4.98%까지 내려갔다.

 

다만, 3% 후반대에 진입했던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 금리는 전일 4%대로 올라섰다.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고정금리(5년)는 이날 4.06~5.06%를 나타냈다. 아파트담보대출 변동금리는 4.49~6.00%로 집계됐다.

 

금융권에선 앞으로 주담대 고정형 금리 3%대 진입은 시간문제로 보고 있다. 변동금리도 고정금리를 따라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주담대 변동금리는 전월 기준 코픽스에 은행 가산금리를 더해 6개월마다 한 번씩 변경된다. 오는 15일 공시되는 1월 코픽스가 예·적금 금리 하락을 반영해 떨어지면 변동형 주담대 금리도 내려간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은행채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데다 앞으로 기준금리는 0.25%p 상승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2월 코픽스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존 차주들은 금리인하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들은 은행의 가산금리 인하 대상이 아니다. 금리가 떨어지기 전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은 올 상반기가 지나야 하락분이 신규 금리에 반영돼 금리 인하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대출을 상환하고 신규대출로 갈아타는 방안도 대안일 수 있지만, 중도상환수수료가 만만치 않다. 일반적으로 만기 전 대출을 해제할 때 잔액의 0.7~1.4%의 중도상환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액이 크다면 줄어들 이자보다 수수료가 더 부담이 될 수 있다"며 "갈아탄다면 수수료가 면제되는 특례보금자리론 대환을 고려해 볼 만 하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