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성능 높이고 가격 그대로, 신형 노트북 출시 러시

(왼쪽부터)갤럭시 북3 울트라, 북3 프로360, 북3 프로/삼성전자

노트북 시장이 모처럼 뜨거워지고 있다. 성능을 크게 개선한 반도체를 탑재하면서도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한 '가성비' 모델이 수요를 촉진하는 모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최근 출시한 신형 노트북 판매량이 예년 수준을 웃도는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 갤럭시북3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사전 판매에서 완판 행진을 기록하는 등 전작 대비 2배 가까운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LG전자 그램도 '뉴진스 한정판'으로 돌풍을 일으켰다. 한때 리셀 가격이 판매가격의 2배 가까이 올랐을 정도. 그램 역시 새로운 컬러를 앞세워 MZ세대를 대상으로 활발한 마케팅을 이어가고 있다.

 

LG전자 그램 스타일(왼쪽)과 뉴진스 에디션.

노트북 판매 증가 이유로는 '가성비'가 꼽힌다.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성능을 크게 높였으면서도 가격은 전작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했기 때문.

 

실제로 갤럭시 북3 프로 출고가는 188만~289만원으로 갤럭시북2 프로(168만~269만원)와 차이가 크지 않다. 여기에 프로모션까지 적용하면 오히려 갤럭시북2 프로보다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고 알려졌다. 그러면서도 아몰레드 2X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등 성능도 크게 개선했다.

 

LG그램은 가격을 유지하는 대신 성능과 디자인을 대폭 업그레이드 했다. OLED 디스플레이에 용량을 늘리고 빛과 각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 '오로라 화이트' 컬러를 입힌 '스타일' 라인업을 추가했다.

 

에이수스 젠북 14X OLED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오랜만에 노트북 판매량을 견인하면서 노트북 업계도 기대를 숨기지 않는 눈치다. 국내 노트북 시장 점유율 절반 이상이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쏠린 상황,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쪼그라들었던 수요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입 노트북 업체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에이수스는 올 초 신임 지사장 잭 황을 임명한 후 2월 들어서만 게이밍 노트북 8종, 보급형 노트북 5종을 새로 내놨다. 소비자 과실로 인한 파손도 지원하는 '퍼펙트 워런티'를 론칭하며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는 정책까지 추가했다.

 

지난해 7월 요가 7세대를 내놨던 한국레노버도 20일 8세대 리전 프로 7i까지 국내에 공식 출시하며 경쟁에 합류했다. 세계 최초로 게이밍 노트북 전용 AI칩인 'LA AI'를 탑재해 차별화했다.

 

레노버 리전 프로 7i

MSI도 최근 신형 노트북 12종을 새로 출시하며 국내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보급형부터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소개했다. 에이서도 오는 4월에는 한국법인 설립을 마무리하고 신제품 출시를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성능도 크게 개선했다. 최근 인텔과 AMD, 엔비디아 등이 신형 CPU와 GPU를 출시하면서 이를 반영한 것. 지난해 시장이 크게 쪼그라들며 대기 수요도 늘어난 만큼, 이를 노린 프로모션도 늘어날 전망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