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저시력자도 잘 보이는 글래스 '릴루미노' 시범 보급

삼성전자가 만든 릴루미노 웨어러블 기기

삼성전자 기술력이 저시력자에 빛을 되돌려준다.

 

삼성전자는 최근 '릴루미노' 기술로 만든 웨어러블 기기 30여대를 경기도시각장애인복지관과 송승환 배우 겸 감독에 무상 제공했다고 6일 밝혔다.

 

릴루미노는 '빛을 다시 돌려주다'는 뜻을 가진 라틴어다. 저시력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보조 솔루션으로, 스마트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릴루미노 앱과 안경 타입 웨어러블 기기 글래스로 구성된다.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앱에서 저시력 장애인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글래스 디스플레이로 실시간으로 보여 주는 방식이다.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고 글래스와 USB 케이블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 중 90% 수준인 잔존 시력이 남아있는 저시력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스마트폰 화면을 보지 않고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촉지감각'을 활용한 UX도 적용했다. 글래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개선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장애 정도나 유형에 따라 개별 맞춤 설정도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삼성서울병원과 협력을 통해 릴루미노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사용자 안전이 검증되었고 별도 시각장애인 사용자 평가를 통해 기존 상용제품 대비 성능·피로도·사용성도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했다.

 

송승환 감독은 "어렴풋이 형체만 보이던 사람과 사물을 제대로 볼 수 있어서 만족스럽다"며, "연기를 하면서 상대 배우를 잘 알아보기 힘든 어려움이 있었는데, 리허설 등의 과정에서 릴루미노를 사용하면 배우의 얼굴과 표정을 느낄 수 있어 연기 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시각장애인복지관의 정옥동 관장은 "시각장애인들이 릴루미노를 착용하자 또렷하게 글씨를 보던 모습이 가장 인상 깊었다"면서 "선명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이번 보급 사업을 운영해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삼성전자는 오랜 연구를 거듭해 릴루미노를 개발했다.2016년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 C랩 과제로 채택해 2017년 기어 VR을 활용한 앱을 개발, 2018년 처음 콘셉트 기기를 개발했다. 이후 개선을 통해 착용감과 피로도 등 편의성을 높여왔다.

 

릴루미노 과제를 시작한 조정훈 연구원은 "시각장애인들 92%가 여가활동 1순위로 TV 시청을 꼽을 정도로 TV 의존도가 높지만, 실제 시청 접근은 어렵다는 조사결과를 보고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릴루미노 연구는 현재 삼성리서치에서 ▲안전성과 사용성 ▲품질 확보를 위한 글래스의 전파 인증 ▲임상시험 ▲SW 검증 ▲신뢰성 시험과 사용자 평가 등 끊임 없는 기술 고도화가 진행 중이다.

 

삼성전자는 더욱 작고 가벼운 릴루미노 글래스 개발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고 새로운 추가 기능도 연구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향후 지원 확대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뉴스룸 유튜브에 다큐멘터리 '꿈꾸삼' 시리즈로 조 연구원이 전하는 희망 메시지를 소개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