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헤이든 핀치 지음/이은정 옮김/시크릿하우스

 

잘 나가는 친구를 보면 배가 아프다. 못된 심보를 벌 주려는 건지 정수리에 새치가 한가득 생겼다. 스트레스 때문이란다. 내가 저 사람보다 못난 게 없는 데 난 왜 이 모양인가 하고 반성해봤다. 딱 한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행동력. 성공한 자들은 엉덩이가 가벼워 빨리빨리 일을 시작했고, 필자는 머릿속으로 할 일을 계획만 하다가 지쳐 아무것도 안 했다.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은 "당신은 게으른 사람이 아니라, 굉장히 잘하고 싶은 사람입니다"라는 책 표지의 문구가 눈에 띄어 구매해 읽게 됐다. 할일을 안하고 미적대는 사람들은 "오늘은 창조적인 활동을 할 기분이 아니야", "먼지가 눈에 띄니 집 청소를 먼저 해야겠어", "에너지가 바닥나 움직일 수 없어"와 같은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저자는 우리가 일을 미루는 이유는 미래 가치를 과도하게 폄하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만족감을 나중으로 미루지 못하고 당장 눈앞에 있는 것을 선호하는 성향 탓에 즉각적인 보상과 즐거움을 주는 더 흥미로운 과업으로 일과를 시작한다고.

 

책은 "미루는 사람은 실패에 잘 대처하지 못하고 문제에 봉착하면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대상에 저항이 가능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갖췄으며 목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부족하면 자제력과 동기 부여에 타격을 입어 결국 미루기를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일을 미루는 사람들은 무언가를 시작할 때 불안감부터 느끼며 완벽한 타이밍을 찾는 데 그런 순간은 없다고 책은 강조한다.

 

저자는 뭐든 잘해내고 싶다는 욕망에 휩싸여 아무것도 시작하지 못하는 완벽주의자들에게 ▲구체적이고 측정 및 달성 가능하며 관련성이 있고 기한이 정해진 목표 설정 ▲과업을 시작하며 드는 불쾌감보다 끝마쳤을 때 느낄 보람에 집중 ▲과업을 수행하면 얻을 이점을 목록으로 정리 ▲미루기를 선택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할 것을 조언한다. 252쪽. 1만7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