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이제 라이벌은 중형 세단, 현대차 '더 뉴 아반떼' 출시

현대자동차 더 뉴 아반떼는 더 낮고 넓은 정면 외관 디자인을 갖게 됐다.

아반떼가 이제 중형 세단 자리를 노린다. 준중형 세단에서는 경쟁자가 없는 상황, 상품성을 크게 높이고 영역을 더욱 넓히려는 모습이다.

 

현대자동차는 13일 더 뉴 아반떼를 출시했다. 이에 앞서 서울 현대모터스튜디오에서 더 뉴 아반떼 실물을 선공개했다.

 

더 뉴 아반떼는 2020년 4월 출시한 7세대 모델을 3년만에 개선한 모델이다. 그동안 국내외서 누적으로 50만대나 팔린 글로벌 스테디셀러, 부분변경을 통해 인기를 더욱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번 아반떼는 Z세대를 정조준한다. 광고 영상도 '보통내기가 아니다'는 문구를 내세우고 도전하는 젊은이들을 담았고, 이를 바탕으로 숏폼 영상을 촬영해 공유하는 '릴스 챌린지'를 진행한다. '포켓몬스터 고'와 같이 현실에서 아반떼를 찾는 게임 '아반떼 플레이'를 제작해 Z세대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마케팅도 마련했다.

 

준중형 세단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첨단 기술을 반영했다. 삼성페이뿐 아니라 애플페이를 사용해 열쇠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키 2 터치'와 주행 상황을 녹화하고 쉽게 공유하는 '빌트인 캠'을 동급 최초로 적용, 에어컨을 말려주는 '애프터 블로우'와 무선 충전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적용했다.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사용한 세이지 그린 컬러. 중형 세단 수준 실내 공간은 일찌감치 인정 받은 바 있다.

실내에는 바이오 소재를 사용한 세이지 그린 컬러를 통해 친환경성도 높였다. 그 밖에 블랙 원톤과 캐시미어 베이지 등 컬러를 더해 선택 폭을 더 넓혔다.

 

외관도 더 역동적이 됐다.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 테마를 이어가면서 더 낮고 넓게 보이도록 고안했다. 외장 컬러도 ▲메타 블루 펄 ▲에코트로닉 그레이 펄 ▲얼티메이트 레드 메탈릭 등 3종의 새로운 색상과 함께 ▲어비스 블랙 펄 ▲아틀라스 화이트▲사이버 그레이 메탈릭 ▲플루이드 그레이 메탈릭 ▲아마존 그레이 메탈릭 ▲인텐스 블루 펄 등 총 9종을 제공한다.

 

특히 아반떼는 이번 부분변경으로 새로운 도전에 나설 전망이다. 국내 준중형 세단 시장에서 유일하게 남은 모델로 성장을 위해서는 중형 세단 시장까지 침범해야하는 상황. 실내 공간과 안전 기능 등을 끌어올리면서 도전에 나서는 모습이다.

 

안전사양이 핵심 무기다. 이미 중형 세단에 뒤지지 않는 실내 공간은 전작에서도 인정 받은 바, 고강성 경량 차체에 8에어백을 비롯해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를 포함한 운전자 주행 보조 시스템(ADAS)을 대거 추가했다. HDA2를 포함한 스마트 센스를 중간 트림부터 추가할 수 있다. 서라운드 뷰 모니터와 후측방 모니터 등 편의 기능도 중형 세단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이다.

 

더 뉴 아반떼는 '보통내기가 아니다' 챌린지로 Z세대 공략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다소 높아진 가격대를 설득하는 게 숙제다. 가솔린 1.6L를 기준으로 엔트리 트림인 스마트가 1960만원, 이전(1866만원)보다 5% 가까이 인상됐다. 인스퍼레이션 역시 2671만원으로 이전(2515만원)보다 비싸졌다. 쏘나타 엔트리 트림인 모던(2675만원)과 같다. 아반떼 수요가 오히려 쏘나타로 넘어갈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최근 가구가 소형화한데다가, 차급보다 '풀옵션'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오히려 아반떼에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현대차에 따르면 아반떼에서 인스퍼레이션 비중이 절반에 가깝다. 2020년 사전 계약에서는 20~30대 비중이 44%, 40~50대 비중도 42%로 중형차를 선호하던 중장년층까지도 아반떼를 향한 관심을 확인하기도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더 뉴 아반떼는 사회초년생을 비롯해 젊은 감각을 지닌 고객층 모두를 만족시킬 차"라며 "중형차급의 안전·편의사양을 적용해 차급을 뛰어넘은 이동 경험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즐거운 자동차 생활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