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R&D 5년간 25조원 집중 투자...첨단산업 '초격차' 확보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트 구축
성장엔진.경제안보.글로벌선도국 다중포석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0일 세종시 집현동 비전세미콘을 방문, 반도체 플라즈마 세정과 오븐시스템 등 반도체 후공정 장비 생산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산업부가 15일 발표한 '국가첨단사업 육성 전략'은 우리 기업이 강점을 지닌 반도체 등 6대 첨단산업 분야를 정해 초격차를 확보하기 위한 정부 연구개발 예산을 집중 투입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첨단산업이 국가와 기업의 성장엔진이자, 경제안보 측면에서 전략자산으로 판단해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단일 단지 기준 세계 최대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기흥 등 기존 생산단지와 연계한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완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 6대 핵심산업에 민간주도 550조원 집중 투자

 

우리가 강점을 보유한 첨단 6개 핵심산업에는 2026년까지 민간 주도로 550조원 투자를 유도하고, 정부는 종합적인 육성 전략을 마련해 글로벌 선도국 지원을 지원한다.

 

우리 핵심산업인 반도체의 경우 향후 5년간 340조원 투자가 목표다. 신규 국가산단을 포함해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첨단 패키징 거점 구축에 24조원 민간 투자를 진행한다. 차세대 반도체 대규모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전력, 차량, 인공지능 등 3대 유망 반도체 연구개발에 총 3조2000억원을 지원한다.

 

디스플레이는 '세계 1위 탈환'이 목표다. 2026년까지 62조원을 투자하고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투명, 확장현실, 차량용 등 3대 유망분야 실증에 나선다. 민간투자 적기 지원을 위해 세제 ·금융 지원에 나서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선제 준비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력 제고도 추진한다. 2032년까지 차세대기술 선도인력 9000명 양성에도 나선다.

 

이차전지에는 2026년까지 39조원을 투자, 2030년까지 세계 1위 도약을 목표로 정했다. 2025년까지 국내 이차전지 생산용량 60GWh(기가와트시) 이상 확보하고 기술 초격차를 위해 민관이 20조원을 투자한다. 핵심광물 관련 글로벌 광물지도·수급지도 제작도 시작한다.

 

바이오 분야는 2026년까지 13조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세계 1위 달성'에 박차를 가한다. 제조역량 확충을 위해 민간투자 밀착 지원과 현장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추진한다. 전국민 건강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신시장을 창출하고 탄소규제에 대응한 바이오 플라스틱, 연료 등 상용화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미래차는 2026년까지 95조원을 투자해 '글로벌 3강 도약'을 목표로 삼았다.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 확대하고 '미래차전환특별법'을 제정한다. 2027년까지 2조원 이상 투입해 센서, 이차전지 등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소프트웨어 인력 등 미래차 융합인력 3만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첨단로봇 글로벌 제조국 진입을 위해 1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민간과 함께 2조원을 투자하고 규제개선과 실증을 추진해 로봇 친화적 환경 조성에 나선다. 용접, 조리, 돌봄로봇 등 일자리 미스매치·위험 분야 신시장 창출에도 착수한다.

 

◆ 단일 단지 규모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 300조 투자

 

정부는 6대 첨단산업 육성방안에는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안도 담겼다. 국가산단 외에도 올해 중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소부장 특화단지 등을 신규 지정해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특히 주력 분야인 시스템 반도체 분야와 관련 대규모 민간 신규투자를 유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메가 클러스터를 구축해 압축도약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2042년까지 300조원 규모의 민간주도 투자를 통해 단일 단지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가 경기도 용인에 조성된다.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고 국내외 우수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팹리스 기업 등 최대 150개를 유치한다.

 

신규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기존 기흥 등 생산단지와 인근 소부장 기업, 판교 팹리스 밸리와 연계한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완성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클러스터에서 기업과 연구소 대학 간 공동 기술개발, 실증 사업이 추진되고 팹리스가 개발한 반도체 생산을 지원해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반도체용 4나노 공정, 차량·가전 반도체용 레거시 공정의 개방을 대폭 확대하고 우수한 팹리스의 시제품 제작과 양산을 집중 지원해 매출 1조원 팹리스 10개를 육성키로 했다. 또 전력, 차량용, 인공지능 반도체 등 차세대 유망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에 2030년까지 3조2000억원의 대규모 기술개발 사업이 추진된다. 미세공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성이 높아진 첨단패키징 분야에 24조원 규모의 생산·연구 거점 민간 투자와 2600억원 규모의 정부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업과 협력해 세계 최대 클러스터와 유기적 생태계를 겸비한 시스템반도체 선도국으로의 도약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