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울산과학기술원, 블루수소 기반 액체 CO2 최적 생산법 찾아

블루 수소 연계 이산화탄소 포집 및 액화 시스템 분석의 개략도. 사진/울산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탄소중립대학원 및 에너지화학공학과 임한권 교수팀이 '블루수소 연계를 위한 액체 이산화탄소 최적 생산 모델의 기술·경제·환경적 타당성 분석 연구'를 진행해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에너지(Applied Energy)'에 출판했다고 16일 밝혔다.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을 적용해 다양한 이산화탄소 액화 시스템에 대해 최적 시나리오 도출이 주요 내용이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액체 이산화탄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액체 이산화탄소는 기체 이산화탄소보다 장거리 운송·저장 관점에서 더 용이하며 식음료, 가스, 금속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수소 생산을 위한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 반응 공정(Natural gas steam reforming)'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액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했다. 특히 위 공정으로 얻어진 수소를 블루수소라 명명하는데, 연구에서는 블루수소 연계를 위한 다양한 이산화탄소 액화 시스템과 더불어 4E(에너지, 엑서지, 경제성, 환경성) 타당성 분석을 통한 모든 측면을 고려했다.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대상으로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을 적용한 이번 연구는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의 기회를 제공한다. 동시에 액화 시스템의 기술적·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의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에서 암모니아 냉매를 적용한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 높은 '우선도(Priority)'를 나타냈다. 이는 기술적·경제적·환경적 측면을 모두 만족하는 지속 가능한 최적의 블루수소 연계 이산화탄소 액화 시스템임을 나타낸다.

 

제1저자 최창권 에너지화학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진행된 이산화탄소 액화 시스템 분석은 앞으로 예상되는 수소 및 액체 이산화탄소 수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4E 타당성 기반의 다기준 의사결정 분석을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 생산에서 기술적·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의 정량적 결과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교신 저자인 Junaid Haider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초의 블루수소 연계 액체 이산화탄소 생산을 위한 연구"라며 "4E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액체 이산화탄소 생산 공정을 모색하는 연구"라고 연구를 강조했다.

 

임한권 탄소중립대학원 교수는 "이산화탄소 액화의 경우 다양한 기업 및 산업에서 이미 광범위하게 다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반의 블루수소 생산 공정과 연계된 지속 가능한 이산화탄소 액화 시스템 모델 제시와 관련된 연구로서 큰 의미를 지닌다"며 "본 연구가 앞으로 액체 이산화탄소 산업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는 UNIST 탄소중립융합원 및 탄소중립실증화연구센터의 지원 받아 수행됐고,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에너지(Applied Energy)에 2월 15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