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세계로 전염된 금융위기…‘금’ 안전 피난처

1년 만에 온스당 2000달러 돌파
KRX 금시장 사상 최고치 기록
"금 가격 향후 가격 더욱 오를 것"

금 시세./네이버금융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을 시작으로 스위스 크레디트스위스(CS), 독일 도이치은행까지 금융위기가 전염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까지 금융위기를 겪자 투자자들은 피난처로 '금'을 선택하면서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 위기 우려에 안전자산인 금값이 치솟고 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올해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2014.90달러까지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3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이후 처음이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온스당 1983.80달러로 하락했지만 지난 2월24일(1817.10달러)부터 4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

 

국내 금시장에서도 금의 인기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24일 KRX 금시장에서는 1㎏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은 8만3735원을 기록했다. 이는 KRX 금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래(2014년 3월24일) 최고가다. 종전 금 최고가는 지난 20일 기록한 8만3488원이다. 같은 날 순금 한돈(3.75g) 매수가격은 35만3500원으로 지난 20일 역대 최고치(36만2000원)보다 1만원 하락했다.

 

금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글로벌 은행들의 위기설이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SVB는 뱅크런이 일어나자 파산했고, 이후 CS 역시 스위스 최대 금융기관 UBS가 인수하면서 사실상 파산했다.

 

지난 24일에는 글로벌 투자은행인 도이치뱅크에서 뱅크 런이 발생하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유럽 은행의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회사의 신용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이 간밤에 크게 올랐다는 소식에 장중 14% 나 하락했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CDS 프리미엄이 높아졌다는 것은 위험이 커져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글로벌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는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고, 스위스 국립은행(SNB)은 0.5%p 인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0.25p%, 유럽중앙은행(ECB)은 0.5%p 등이다.

 

금리인상기가 지속되면서 금값 상승세 역시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2008년 금융위기에도 금값은 600달러에서 1000달러로 단기간 급등한 바 있기 때문이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SVB 사태 이후 은행권 부실이 연이어 도마 위에 오르며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 증가하면서 국제 금 가격은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며 "연준의 기준금리인상 속도가 조절되면서 상대적으로 금이 강세를 보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긴축 속도 조절과 세계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높아진 만큼 향후 귀금속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