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배민 주최 '배민외식업박람회' 23만회 조회수 기록...성황리에 마무리

테이븨 브레이크타임 공개방송. /우아한형제들

카페 창업을 준비 중인 A 사장은 "외식업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창업자로서 정보를 얻기 힘든데, 여러 대표님과 교수님, 전문가들의 강연을 통해 좋은 조언과 창업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꿀팁을 얻어갈 수 있었어요"라고 말했다.

 

배달의민족이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진행한 온라인 세미나 '배민외식업박람회'가 23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엔데믹 국면에서 최신 장사 트렌드 및 노하우를 배우려는 외식업 사장님과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사장님들이 대거 몰렸다.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지난 3월 30일부터 4월1일까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열린 'IFS 프랜차이즈창업 박람회'(International Franchise Show)에서 '배민외식업박람회'를 열고 사흘간 온라인으로 생중계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흘간 온라인 생중계를 시청한 조회수는 23만 회에 달했다.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 협회가 주최하는 'IFS프랜차이즈 창업 박람회'는 국내외 300여 개 브랜드가 참가해 프랜차이즈 및 창업 전 분야의 최신 정보와 동향을 접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 창업박람회다.

 

배민은 이번 박람회에서 '배민외식업박람회'를 타이틀로 별도 라이브 무대를 꾸며 다양한 전문가들의 강연을 개최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생중계했다. 올해 창업 트렌드부터 사업에 필요한 경제 트렌드, 합리적인 사업 판단을 위한 노하우, 배민 데이터로 보는 소비 트렌드 등 다채로운 주제의 강연이 진행됐다.

 

올해 창업 및 소비 트렌드 등 최신 정보가 담긴 강연들은 낮 시간대에도 불구하고 평균 7만 5000회의 조회수를 기록해 인기를 끌었다. 강연자로 나선 각계 전문가들은 경기는 나빠지고 갈수록 변화가 빨라지는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 사장님들이 어떤 고민을 해야 할지 창업 성공 노하우를 공유했다.

 

기조 강연으로 박람회 첫 포문을 연 국내 빅데이터 전문가 바이브컴퍼니 송길영 부사장은 "변화하는 시대, 떨어지는 칼날을 잡지 마라"고 당부했다. 송 부사장은 "분화하는 사회, 장수하는 인간, 비대면의 확산 등 바뀌는 삶의 모습을 이해하고 비즈니스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창업트렌드연구소 이홍구 소장은 '2023 창업 트렌드와 성공전략'이라는 주제로 올해 주목해야 할 트렌드로 '스테디셀러 상품의 새로운 변화'를 꼽았다. 이 소장은 "코로나19의 진통과 경기 부진으로 새로운 창업 아이템의 모색이 어렵다"며 "기존의 인기 메뉴들이 새로운 콘셉트를 내세워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박람회에선 실제 음식점을 운영하는 가수 테이가 진행하는 배민 콘텐츠 '테이의 브레이크 타임'의 공개 방송도 진행됐다. 대한가맹거래사협회장 강성민 가맹거래사와 방송인이자 외식업 경력 20년 차 홍석천이 함께 출연해 프랜차이즈 창업에 궁금했던 것들을 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소개했다.

 

사흘간 펼쳐진 이번 배민외식업박람회의 주요 강연은 이달 20일 배민외식업광장에 업로드될 예정이다.

 

우아한형제들 권용규 외식업솔루션센터장은 "외식업 사장님과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사장님의 높은 관심으로 온라인 생중계에 사흘간 23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며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외식업 시장에서 사장님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창업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