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미래 모빌리티 필수품, 투명 디스플레이가 온다

현대모비스 엠비전 투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주행 정보 뿐 아니라 관광과 쇼핑 등 정보까지 출력할 수 있다. /김재웅기자

2023 서울모빌리티쇼가 성황리에 막을 내리면서 미래차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콘셉트카 사방을 채운 투명 디스플레이에 호평이 이어졌다는 후문. 투명 디스플레이 상용화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9일 폐막한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 엠비전 투와 하이를 국내 처음으로 소개했다.

 

엠비전은 현대모비스 기술을 소개하기 위해 개발한 콘셉트카로, 엠비전 투와 하이는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인휠모터와 e-코너 시스템, 커뮤니케이션 라이팅 등 이미 개발된 부품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를 현실적으로 구현해낸 모델이다.

 

투명 OLED 등으로 내부를 채운 LG디스플레이의 자율주행 콘셉트카 모습 /LG디스플레이

엠비전 투와 하이는 주행 기술만큼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핵심으로 한다. 엠비전 투는 스스로 달리는 차 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주행 정보는 물론 쇼핑과 관광까지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엠비전 하이는 레저용 자율주행차로, 초대형 디스플레이로 이동 중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현대모비스 부스에서 체험을 마친 한 관람객은 "자동차 기술보다 디스플레이가 더 인상적이었다"며 "하루 빨리 현실에서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미래차 디스플레이는 대부분 투명 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차량을 둘러싸야만 하는 유리창을 대체해 평소에는 외부를 볼 수 있게 하면서도 필요할 때는 디스플레이로 콘텐츠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 SID2022에서 소개한 투명 OLED로 만든 클러스터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투명 OLED가 필수다. 투명 LCD보다 훨씬 얇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데다가 안전하고 화질도 훨씬 선명하기 때문이다.

 

투명 OLED는 이미 상당 수준으로 상용화된 상태다. LG디스플레이가 일찌감치 시제품을 내놓고 시장을 이끌고 있다. 중국 샤오미가 출시한 투명 OLED TV도 LG디스플레이 작품이다.

 

중국 베이징과 심천 지하철과 일본 JR동일본 관광열차에서도 LG디스플레이가 공급한 투명 OLED로 만든 객실 창문을 만나볼 수 있다.

 

국내에도 있다. 지난해 7월부터 운행을 시작한 XR버스에서다. 버스 양쪽 창문에 55인치 투명 OLED 디스플레이 12대를 탑재해 대표 관광지인 수원 행궁을 실제 정조대왕 행차 장면을 결합한 증강현실로 여행해볼 수 있도록 했다.

 

LG디스플레이는 투명 OLED 투과율을 40% 수준으로 끌어올려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이미 45% 수준으로도 개발을 마친 상황, 꾸준히 성능을 개선해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그 밖에도 접거나 마는 등 다양한 폼팩터로도 구현해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이미 투명 OLED 시제품을 여러차례 공개한데다가, RGB OLED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상용화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투명 OLED를 승용차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남아있다. 일단 운전을 하는 전면 유리에 필요한 투과율은 70% 이상, 여기에 필요한 투명 OLED를 양산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LG디스플레이 투명 OLED를 탑재한 수원 XR버스. 창밖을 관람하며 증강현실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다. /LG디스플레이 뉴스룸

아직 승용차를 위한 콘텐츠도 없다. 완성차와 전장 업계가 콘셉트 수준으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긴 했지만, 아직은 적지 않은 비용을 들여서 차량에 적용할 만큼 상품성은 부족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때문에 아직까지는 완성차와 디스플레이 업계간 투명 OLED 도입을 위한 논의만 이어지는 상황, 개발이 본격화하더라도 승용차가 안전 검증에 까다로운 만큼 실제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5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자율주행 시대에는 투명 OLED가 필수가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안전성이나 콘텐츠 부재 등으로 상품성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대신 특수 목적용 모빌리티에 한해서는 투명 OLED가 빠르게 자리잡는 분위기다. 당장 두산 밥캣이 조종석 전면에 투명 OLED를 적용한 전기굴착기 E35e를 선보인 바 있다. HD현대 자회사인 아비커스도 자율주행 보트 콘셉트에 투명 OLED를 탑재하며 실용성을 확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