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인터넷은행, 불안정 예금·신용대출 비중 높다

금융위기시 유동성 우려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중은행보다 불안정 예금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모도 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이 많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이 불안정해 차주의 신용리스크가 커지고, 예금의 이탈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은행의 건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케이뱅크의 불안정예금은 9조7615억원으로 1년전(4조3086억원)과 비교해 2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매·중소기업 예금의 97%에 달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토스뱅크의 불안정예금도 늘었다. 지난 2021년 말 8조4593억원이던 불안정예금은 지난해 말 18조3119억원으로 10조원가량 증가했다. 전체 소매·중소기업 예금의 89%이다.

 

인터넷전문은행(케이,토스뱅크) 불안정 예금 현황/각 사

◆시중은행보다 높은 불안정예금…이탈 가능성↑

 

안정적 예금은 예금자보호 한도 내에서 금액이 급여자동예치계좌 등 결제계좌에 예치되거나 1년간 현금화할 가능성이 낮은 자금을 말한다. 불안정예금은 안정적 예금에 해당하지 않는 예금으로,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전액 보호되지 않는 예금, 거액예금, 특정 이익추구 목적 또는 고액 개인자산가의 예금, 인출이 용이한 예금(요구불예금) 등을 포함한다.

 

현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비중은 60%대이다. 카카오뱅크를 제외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불안정 예금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불안정 예금비율이 높을 경우 타 은행보다 수신금리가 낮거나 위기설이 불거질 경우 이탈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해 토스뱅크는 타 은행보다 수신금리가 낮아지자 5조원 이상의 예금이 빠져나간 바 있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을 산정하기 위해선 현금유출액 중 안정적 예금에는 5%의 일탈률을 적용하고, 불안정 예금에는 10%의 일탈률을 적용하고 있다. 인출이 용이한 불안정 예금이 대거 이동할 경우 이탈률이 높아 유동성 부족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인터넷전문은행 담보별 대출비중/각 사

◆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 비중 높아…신용리스크↑

 

여기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규모는 증가하는 반면 담보대출 규모는 저조해 차주의 신용리스크에 따라 은행의 안전성 또한 휘청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말 기준 케이뱅크의 주택담보대출과 전·월세 등 보증대출을 합친 금액은 2조4688억원으로 1년전(1조2346억원)과 비교해 2배 가량 늘었다. 다만 지난해 신용대출 규모는 8조3073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77%수준이다. 신용대출의 경우 담보가 없어 차주의 신용 리스크 영향을 많이 받는다. 상대적으로 은행의 건전성 또한 취약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토스뱅크의 지난해 기준 담보·보증 규모는 2115억원으로 전체대출 금액의 2.45%다. 반면 신용대출(8조4279억원) 규모는 전체대출 금액의 97%에 달한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담보·보증 대츨 규모는 14조4925억원으로 52% 수준이다. 경기악화로 차주의 신용리스크가 악화될 경우 케이·토스뱅크를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의 경우 중저신용자를 포함한 신용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신용리스가 커질 수밖에 없다"며 "더구나 불안정 예금까지 많은 상황이어서 위기 시 취약성이 부각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