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우리금융 임종룡 회장의 숙제…은행 의존도 낮추고, 증권사 인수

우리금융 1분기 9000억 넘어 호실적 기록
비이자이익 3300억원…경쟁사는 '조'단위
유안타증권 최대주주 지분율 지속적 증가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우리금융

우리금융그룹이 올해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비은행부문 강화는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중형사 이상의 증권사를 인수하겠다고 밝히면서 숙원 사업을 이뤄낼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금융그룹은 지난 24일 1분기에 당기순이익 9113억원의 실적을 내놨다. 지난해 동기 대비 8.6%(약 721억원) 증가한 것으로, 증가 폭은 지난해(32.5%)보다 줄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순영업수익은 2조55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기준금리 인상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늘어난 2조219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비이자이익은 감소했다.

 

우리금융의 1분기 비이자이익은 3317억원으로 전년 동기(3835억원) 대비 13.4%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1310억원), 4분기(2350억원)와 비교하면 양호한 실적이지만 신한금융과 KB금융의 비이자이익이 2조원, 하나금융 1조원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자회사별 수익을 살펴보면 우리카드는 전년 동기 대비 46.3% 하락한 458억원, 우리금융캐피탈은 20.4% 하락한 393억원, 우리종합금융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80억원의 순익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은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금융지주) 가운데 유일하게 증권사, 보험사가 없어 순이익의 90%가 우리은행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은행업과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1조~3조원 규모의 중형급 증권사 인수합병(M&A)을 몇 년간 추진해 왔지만 매물로 나온 증권사가 없어 제자리걸음이다.

 

당초 증권가에서 잠재적 매물로 자산관리(WM)부문에 강점을 가진 유안타증권이 거론됐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는 분석이다.

 

유안타증권의 최대주주인 유안타시큐리티즈아시아 지분 비율은 지난 2019년 54.62%(109,013,219주)에서 지난 3월 14일 57.98%(115,727,887주)까지 늘어났다. 최대주주 지분 비율이 50%가 넘었기 때문에 경영권 위협이 없는 상황에서 비율을 늘리는 것은 회사 경영 안정에 초점을 맞춘 것이란 해석이다.

 

이밖에도 삼성증권도 언급되고 있지만 대주주인 삼성생명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갖춘 삼성증권을 팔 이유가 없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우리금융은 M&A 1순위로 증권사를 검토하겠다는 기존 계획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취임식에서 "미래 성장 추진력 강화를 위해 증권·보험 등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조속히 확대하겠다"고 말했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도 "위기 속에서 숨어있는 더 큰 기회를 찾아 비은행 포트폴리오 완성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선 임종룡 회장이 어떤 방식으로 증권사 인수에 나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