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1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영업이익을 내며 상장 이후 5개 분기 연속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다. 국내 배터리 업계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인한 수혜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도 IRA 대응전략을 공개하며 북미 시장 선점에 자신감을 보였다.
26일 LG에너지솔루션은 실적설명회를 열고 2023년 1분기 매출 8조7471억원, 영업이익 6332억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은 101.4%, 영업이익은 144.6% 상승한 수치며, 영업이익률은 7.2%다. 이는 기존 역대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던 전분기(8조5375억원)보다 2.5% 늘어난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인 이창실 부사장은 1분기 실적 호조 요인으로 "지속적인 품질 및 생산성 향상, 공급망 강화 활동 등을 통해 구축해 온 차별화된 경쟁력에 기반한 성과"를 꼽았다.
◆ IRA 공제 반영 시작…적극 대응 나선 LG엔솔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1분기 영업이익에는 IRA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Tax Credit) 관련 금액 1003억원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배터리 업체 입장에서 IRA의 핵심 정책은 전기차 보조금과 세액 공제는 영업이익과 직결되는 사안이기도 하다.
IRA 규제에 따르면 올해부터 미국 내에서 생산·판매한 배터리 셀·모듈에 일정액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셀은 ㎾h(킬로와트시) 당 35달러, 모듈은 ㎾h당 10달러로 책정돼 있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이 1분기 영업이익은 IRA 세액 공제 효과를 제외하면 5329억원이다. 그럼에도 LG에너지솔루션은 해당 법 조항이 올해 1월 1일부로 반영되기 때문에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판단, 유관기관과 회계전문가의 의견을 종합·검토하고 반영했다고 컨퍼런스콜을 통해 답했다.
이창실 CFO는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수혜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현재 미국 현지에서 추진 중인 양산프로젝트 총 규모는 현 기준으로 250GWh(기가와트시) 수준으로 이에 따라 생산되고 판매되는 케파가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미국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미시간 단독법인과 제너럴모터스(GM) 합작법인(JV) 1공장의 판매물량을 통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공장 판매물량은 약 15~20GWh 규모다.
이 CFO는 "향후 미국 지역의 확보 생산 물량은 250GWh에 달할 것"이라며 "현지 원통형 생산 거점 확보, LFP 기반 ESS용 제품 양산 등 현지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향후 미국 내 생산능력을 GM 1·2·3 공장(140GWh), 혼다 JV(40GWh), MI 단독공장(26GWh), 애리조나 단독공장(43GWh) 등을 포함해 총 250GWh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 시장 선점 위한 전략 구축…EV LFP는 '아직'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시장에서의 선제적인 투자와 생산능력 확보, 한발 앞선 공급망 구축 등을 통해 고객 경쟁력 제고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고 수율 맞추기에 집중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부품 및 핵심광물의 현지 생산 ▲우려국가 외 공급망 안정화 ▲현지 원통형 수요 대응력 강화 ▲신(新) 성장동력 기반 확충 ▲생산 조기 안정화 ▲스마트팩토리 건설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배터리 부품은 셀·모듈·전극 등의 북미 현지 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분리막·전해액의 현지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내 원통형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LFP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제품 양산 등을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알렸다. 현재는 북미 지역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중 사상 최대 규모(43GWh)인 애리조나 신규 원통형 및 ESS LFP 공장 건설 계획을 예고한 상태다.
전기차에 LFP를 탑재하는 시점은 언제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김경훈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기획관리담당 상무는 "전기차용 LFP 배터리 진출은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우선은 개발 중인 ESS에 우선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향후 고성능 LFP 개발 등을 통해 (전기차) 적용 계획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이외에도 미드니켈 NCM 등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며 "중저가 솔루션 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LG에너지솔루션 CEO인 권영수 부회장은 "LG에너지솔루션은 선제적인 투자와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북미지역을 선도하는 배터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QCD(품질·비용·납기) 제공을 통해 고객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수익성 No.1 기업'이 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