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거꾸로 읽는 세계사

유시민 지음/돌베개

 

1929년 10월 24일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가 문을 염과 동시에 지옥의 게이트가 열렸다. 뚜렷한 이유 없이 주가가 무너져 내렸고 거리에 나앉게 된 투자가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어버렸다. 훗날 이 날엔 '검은 목요일'이란 이름이 붙었다.

 

저자는 '거꾸로 읽는 세계사'를 역사 입문서쯤으로 소개하지만 현시대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공포 논픽션'으로 읽힐 여지가 다분하다. 특히 대공황 파트를 읽다 보면 최근 벌어졌던 일련의 사건과 과거에 있었던 일들이 겹치며 이런 생각이 든다. '이러다 대공황이 오는 거 아니야?' 하는 걱정 말이다.

 

국내 주가 폭락 사태, 미국 은행 파산, 중국의 높은 실업률 등 모두 대공황 전후로 나타났던 현상과 양상이 비슷하다. 책에 따르면, 검은 목요일 이후 주가는 끝없이 추락했고, 미국에서 5000개 은행이 부도를 내 저금통장 900만개가 무용지물이 됐다.

 

사람들은 휴짓조각으로 변해버린 예금통장을 보며 한숨을 내쉬다 어쩔 수 없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지출을 줄였다. 물건이 잘 팔리지 않자 기업가들은 생산을 줄이고 노동자를 해고했다. 자금이 부족한 기업이 줄줄이 파산하자 실업자는 더 늘어났다.

 

저자는 "처음에는 불경기가 올지도 모른다는 걱정 때문에 주식값이 폭락했다. 그런데 이는 더 지독한 공황을 불러왔다. 국가가 개입하지 못하게 하고 모든 것을 개인의 판단과 결정에 맡겨 두는 자유방임 자본주의는 이렇게 해서 끔찍한 종말을 맞았다"고 설명한다.

 

책은 자유방임시장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주는 게 아닌 오로지 돈이 뒷받침하는 것만을 준다고 비판한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을 맹신했던 과거 경제학자들은 상품이 많이 생산돼 팔리지 않는 일은 있을 수 없으며, 실업문제 또한 인정하지 않았다. 허나 미국발 대공황의 쓰나미가 세계를 휩쓸면서 그들의 신념이 틀렸다는 것이 입증됐다.

 

세계 자본주의 열강은 대공황에서 탈출하려고 몸부림쳤다. 처음엔 무역전쟁을 벌이다가 군비경쟁으로 나아갔고 끝내는 원자폭탄까지 터뜨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저자는 "대공황은 사람이 인간을 위해 상품을 생산한다는 명백한 진리를 망각하고 마치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는 것 자체가 목적인 양 도취됐던 바로 그때 세계를 덮쳤다"면서 "만약 인간이 자기가 제대로 다스리지도 못하는 제도를 아무 비판 없이 예찬하고 무작정 섬기는 잘못을 되풀이한다면 또다시 대공황과 같은 재앙을 불러들이게 될지도 모른다"고 경고한다. 404쪽. 1만75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