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지난해 증시 부진 여파로 증권사 해외법인 순익 57%↓

/금융감독원

지난해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 법인 순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주요국 증시 부진 여파로 위탁수수료 수익이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이 3일 발표한 '2022년 국내 증권회사 해외점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증권사 14곳은 14개국에 진출해 60개 현지법인과 12개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지난해 국내 증권사 해외 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은 1억2380만달러(1569억원)로 전년 대비 56.9% 감소했다. 총 60개 해외 현지법인 중 35개사(58.3%)가 흑자를 기록, 25사(41.7%)는 적자를 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미국 등 총 11개국에서 이익을 실현했다. 반면 태국·싱가포르 등 3개국에선 주식매매이익 감소, 설립 초기 영업 부진 등으로 적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증권사 해외 현지법인의 자기자본은 75억5000만달러(9조6000억원)로 전년 말 대비 1.4% 감소했다.

 

반면 자산총계는 277억5000만달러(35조2000억원)로 전년 말 대비 4.7% 늘었다.

 

작년말 기준 14개 증권사가 해외에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은 해외점포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한국투자증권(11개), NH투자증권(8개), KB증권(7개), 신한투자증권(6개), 삼성증권(5개) 순이었다.

 

해외점포는 현지법인 60개, 사무소 12개 등 총 72개였다. 해외점포가 가장 많이 설치된 지역은 중국·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56개)이며 그밖에 미국(11개), 영국(4개), 브라질(1개) 순이었다.

 

한편 2021년과 비교하면 자산총계는 12억6000만달러(4.7%) 증가했으며, 자본총계는 1억1000만달러(1.4%) 감소했다. 부채총계의 경우 188억3000만달러에서 202억달러로 7.2%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회사 해외 진출 시 발생가능한 애로사항 및 제도 개선 관련 건의사항 등을 수시로 수렴하고 해소방안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 진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 요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등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