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금리인상 막바지?…"대출 갈아탈까 말까?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지난 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 0.25%포인트를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했으며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동결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고,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고 밝혔다./뉴시스

치솟던 금리 인상 기조가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대환대출을 고려했던 금융소비자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렸지만, 금리 인하 가능성에는 선을 그으면서 국내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어서다.

 

미 연준은 이번달에 4.75~5.00%였던 기준금리를 5.00~5.25%로 0.25%p 올렸다. 이는 2007년 8월 이후 약 16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미국은 침체된 경기를 감안해 금리 동결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경기침체 폭이 예상보다 커지면 미국이 하반기에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는 가운데 한국은행은 이번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이에 따라 대출자들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낮은 수준이다.

 

7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3.70~5.90%, 변동금리는 연 4.09~5.86%로 집계됐다. 국내 은행 주담대 고정금리 하단은 3%대를 유지하고 있다.

 

기준금리가 내려가더라도 국내 시중은행의 금리 수준은 비슷할 수 있다는 점이 변수다.

 

한은이 지난 2월과 4월 연속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지만 금융 소비자들의 이자부담은 크게 줄지 않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한달새 시중은행 전세대출 금리는 오히려 높아졌다. 현재 5대은행의 전세대출금리(2년 고정)는 3.49~5.93%로 한달 전(3.46~5.92%)보다 소폭 상승했다.

 

따라서 업계는 금리가 한동안 안 내릴 거라고 보면 고정금리로 묶는 게 낫지만, 하반기께 내려간다고 판단하면 변동금리가 낫다고 보고있다. 다만 고정금리의 경우 통상 3년 안에 갈아타면 중도상환수수료를 내야 하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밖에 금리가 저렴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상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3곳(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중 지난 3월 중 취급된 신용대출의 평균금리가 가장 낮은 은행은 카카오뱅크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의 평균금리는 5.11%로 5대 시중은행(5.57~6.00%)과 비교해 최대 0.9%p가량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한도대출(마이너스통장)의 경우도 카카오뱅크의 평균금리(5.59%)가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하나은행(5.87%), 신한은행(5.93%), 케이뱅크(5.97%)가 뒤를 이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인터넷은행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가 지난 3월 중 취급한 주담대(만기 10년 이상)의 평균금리는 4.04%로, 이는 5대 시중은행(4.48~5.23%)과 비교해 최대 1%p 이상 낮은 수준이다. 케이뱅크도 4%대 초반 대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차주의 신용점수에 따라 금리 수준은 상이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로 갈수록 시장금리는 떨어지겠지만 당분간 보합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