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올 여름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선보이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오전에 진행된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올 여름 생성형 AI인 차세대 '하이퍼클로바X'를 출시할 계획이다. AI에 국내 최대 규모로 학습시켰으며 높은 성능에도 타사 대비 1/4 절감된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하이퍼클로바X는 이미지 및 음성을 이해하고 계산기, 지도 등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답변도 가능해진다"며 "검색에서는 생성형 AI 사내 베타 테스트를 상반기 중 진행할 계획으로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네이버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엔지니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B2B(기업간 거래) 제품으로 글로벌 선도기업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맞춤형과 데이터 이슈를 잘 해결해주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하반기에 업그레이된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며 "고객의 데이터와 하이퍼클로바X를 결합해 생성형 AI를 만들 수 있도록 클로바스튜디오가 대폭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 대표는 "초거대 AI 모델이 검색 쇼핑 외에 블로그 창작이나 여행 예약 서비스 고도화 등에 적용해 이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다"며 "AI 윤리와 데이터 권리 문제와 관련해서도 학계 등 전문가분들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건강한 AI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이겠다"고 밝혔다.
또 글로벌 진출과 관련 "일본에서 연내 라인웍스. 네이버웍스 등 생산성 도구에 하이퍼클로바X를 접목한 기업형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며 "네이버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AI와 결합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것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또한 올해 초 인수를 완료한 북미 패션 C2C(개인간 거래) 플랫폼인 포시마크의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포쉬마크는 영업비용 효율화와 마케팅 비용 최적화 등 노력을 통해 수익성이 개선돼 당초 내년 목표였던 EBITDA(상각 전 이익) 흑자 전환을 이번 분기에 조기 달성했다.
최 대표는 "포시마크는 대다수 미국 패션 C2C 플랫폼이 역성장하는 상황에서도 높은 이용자 리텐션을 기반으로 성장을 지속했으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며 "앞으로도 비용 효율화와 신규 수익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이날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5%나 늘어난 330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또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3.6%가 증가한 2조 2804억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네이버의 실적은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전망한 네이버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인 매출 2조2734억원과 영업이익 3171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영업이익이 10% 가까이 증가세를 보인 것은 인건비 성장이 둔화된 것과 마케팅비 효율화, 포쉬마크의 EBITDA 흑자 달성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서치플랫폼의 계절적인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8518억원 ▲커머스 6059억원 ▲핀테크 3182억원 ▲콘텐츠 4113억원 ▲클라우드 932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동안 네이버의 핵심 사업이라고 볼 수 있는 검색 플랫폼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 특히 전 분기와 비교하면 이는 7.1% 감소한 수치다. 네이버는 이와 관련해 경기 침체는 물론 전년도 올림픽과 대선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검색 플랫폼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광고 매출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이날 2022년에서 2024년까지 3개년 주주환원계획을 공개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새로운 주주환원계획에 따라 향후 3년간 최근 2개월 평균 연결 잉여현금흐름의 15~30%를 전액 현금 배당해 지급할 것"이라며 "총 환원규모를 30%로 측정했지만 이보다는 유연한 레인지로 15~30%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주주환원계획에 따른 지난해 사업연도 연결 잉여현금흐름의 15~30%는 623억원~1246억원에 해당한다.
김 CFO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앞으로 3년간 자사주를 1%씩 소각해 총 3%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며 "지난해 사업연도에 대한 이사회 결의 후 3분기 내로 현금 배당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