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전경련, 미중무역분쟁 이후 국가별 반도체 수입 점유율 분석…중국 대신 대만·베트남

대만 TSMC 팹 /TSMC

미중 반도체 전쟁으로 이익을 본 나라는 대만과 베트남이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을 기준으로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해 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 30.2% 점유율로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였지만, 2022년에는 11.7%로 18.5% 포인트나 급격하게 떨어졌다.

 

반도체 조립과 테스트 등 기지가 다수 위치한 말레이시아도 22.8%에서 18.3%로 축소됐다.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붕괴 영향이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대만은 같은 기간 9.5%에서 19.2%로 2배 이상 점유율을 높이며 미국에 가장 반도체를 많이 수출하는 국가가 됐다.

 

한국도 10.8%에서 12.6%로 소폭 증가하며 중국을 넘어서긴 했지만, 큰 폭으로 성장한 대만에는 미치지 못하며 예전과 같은 3위를 지켰다.

 

특히 베트남은 2.5%에서 9.8%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며 새로운 반도체 생산 강국으로 떠올랐다.

 

전경련은 미국 반도체 규제 영향으로 순위가 뒤바뀌었다고 봤다. 2019년 사업을 중단한 푸젠진화에 이어 화웨이 하이실리콘 등 계열사, SMIC 등 주요 반도체 업계가 생산을 하기 어렵게 됐다는 것. YMTC도 지난해 12월 장비 수급이 막히면서 3D 낸드플래시로 대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인 컴퓨터 등 부품주에서 점유율을 늘렸다. 미국이 2018년에서 2022년까지 해당 제품 수입액을 96억7000억달러나 줄였지만, 대만은 327%, 베트남은 4038%를 늘리며 중국 공백을 채웠다. 한국도 52% 늘렸지만 상대적으로는 적었다.

 

전경련은 대만과 베트남이 고성장 품목에서 입지를 강화하는데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대만이 미국 기타 전자집적회로 품목. 베트남이 LED 및 태양전지·태양광 모듈 등에서 큰 성장을 보였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에 따른 최대 수혜국은 대만과 베트남으로 한국의 점유율은 소폭 상승에 그쳤다"라고 지적했다. 추 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