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KT, 대표이사 부재 및 비상경영 체제 전환에 1분기 실적 악화...일회성 비용 사라지며 영업이익 22.5% 감소

KT 1분기 실적. /KT

KT의 대표이사 부재와 이로 인한 비상경영 체제로의 전환이 KT의 1분기 실적 악화를 이끌었다. 또 지난해 1분기에는 KT에스테이트를 통해 부동산을 매각하며 746억원의 추가 이익을 거뒀는데, 올해는 이 같은 일회성 비용이 사라지며 1분기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일회성 이익을 빼더라도 전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2% 넘게 줄어들며 저조한 실적을 거둔 것이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전기세, 수도세 등 물가가 오르는 등 인플레이션 등으로 제반 비용이 상승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며 "인건비, 사업경비가 오르는 폭보다 이익 성장 속도가 작은 것이 한 몫을 했다"고 설명했다.

 

KT는 11일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2.4%나 떨어진 486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같은 기간 매출은 2.6%가 늘어난 6조4437억원으로 집계됐다.

 

◆5G 가입자 핸드셋 가입자 65% 기록...해외 여행객 증가로 로밍 매출 회복세

 

B2B 플랫폼 사업은 디지털 전환(DX)과 부동산 사업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AI컨택센터(AICC) 사업은 올해 1분기 신한금융그룹 통합 AI콜센터 구축사업을 수주했다. 부동산 사업은 작년 11월 오픈한 명동 르메르디앙&목시를 포함해 호텔업의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KT는 모빌리티 분야의 디지털전환(DX)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 향후 커넥티비티, 인포테인먼트, C-ITS, 디지털물류 등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AI기반 차세대 모빌리티DX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B2B 고객 대상 통신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4.1% 성장했다. 기업인터넷 사업은 대형 CP사의 데이터 수요 증가와 공공기관 전용회선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기업통화 사업은 알뜰폰 사업자와 협력을 강화하고 고객 혜택과 편의성을 확대하는 등 알뜰폰 시장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4% 늘었다.

 

B2C 플랫폼 사업 중 IPTV 사업은 국내외 OTT 플랫폼과 적극적인 제휴와 고객 중심의 서비스 개선으로 고객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니TV는 올해 iF 어워드 사용자경험(UX)과 브랜드정체성(BI)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하는 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 IPTV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유·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894만명으로 핸드셋 기준 전체 가입자의 65%를 기록했다. 이는 프리미엄 가입자 중심의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해외 여행객 증가로 로밍 사업은 전 분기에 이어 매출 회복세를 이어갔다. KT는 오는 6월 출시 예정인 5G 중간요금제를 비롯해 시니어 및 20대 전용 요금제, 온라인 전용 무약정 요금제 등 다양한 요금제를 선보이며 고객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 또 초고속인터넷은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기가인터넷 판매 비중이 늘어나며 매출이 전년 대비 2.8% 올랐다.

 

◆kt cloud, 출범 1주년 성장세 이어가...IDC 사업은 두자리수 매출 성장

 

1분기부터 KT그룹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이는 가운데, '종이달', '보라!데보라', '지구마블 세계여행', '혜미리예채파' 등 오리지널 드라마와 예능 모두 화제성을 이어나가며 흥행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다만, 경기침체에 따른 광고시장과 커머스 시장 침체로 콘텐츠 자회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했다.

 

출범 1주년을 맞이한 kt cloud는 1분기 매출 1487억을 기록하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 증가와 업셀링 전략으로 IDC 사업은 두자리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또한 클라우드 사업은 향후 초거대 AI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업 고객 특화 서비스 및 맞춤형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사업에서 BC카드는 신용카드 매입액 증가, 자체카드 발행 및 대출사업 등 신사업 분야 성장 등으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6% 늘었다. 케이뱅크는 2021년 2분기부터 여덟 분기 연속으로 영업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또 올해 1분기에도 고객 수와 수신, 여신 등 모든 영업 지표가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케이뱅크의 1분기 말 수신 잔액은 16조 6000억원, 여신 잔액은 11조 90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4.2%. 52.9% 증가했다.

 

KT CFO 김영진 전무는 "KT는 인플레이션과 성장을 위한 투자 비용 증가에도 견고한 사업구조를 바탕으로 올해 1분기 매출 성장을 이끌어 냈다"며 "지배구조 분야에서도 글로벌 스탠다드를 뛰어넘는 선진 지배구조 체계 구축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