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이영 중기부 장관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 마련…세계 최고 수준 창업환경 만들 것"

취임 1주년 맞아 기자간담회 갖고 정책 성과·계획 등 설명

 

노란우산 개편…소진공 기능 강화등 소상공인 안전판 마련

 

李 "코트라 산하 GBC 독립해 中企·벤처 수출 지원 강화해야"

 

"인력난 심해 中企 제조혁신 절실…스마트공장 예산 늘릴 것"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스타트업 코리아 원년'을 위한 종합대책을 6월 중 발표한다.

 

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공제상품인 '노란우산' 제도를 개편해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재난지원금 지급 등 첨병 역할을 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기능을 더욱 강화한다.

 

중소기업들에 대한 기술탈취가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는 가운데 피해 최소화를 위한 범부처 신고센터도 만든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코트라(KOTRA)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를 중소기업들의 해외 수출 전진기지 역할에 더욱 충실할 수 있도록 독립을 모색한다. 스마트공장 예산도 내년엔 더욱 늘려 제조 중소기업들의 제조 혁신을 추가로 돕는다.

 

이영 중기부 장관(사진)은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취임 1주년을 겸해 출입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 장관은 "1년이 굉장히 빠르게 지나간 것 같다"고 소회를 밝힌 후 "기존에 나왔던 스타트업·벤처 대책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의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을 범부처가 협업해 수립하고 있는 만큼 기대해도 좋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창업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기부는 3년에 가까운 코로나19를 겪은 소상공인들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입히고, 성장을 도모하는 기업가형 소상공인을 적극 육성해나갈 계획이다. '다산다사'형의 소상공인들을 위해 안전망도 더욱 강화한다.

 

이 장관은 "노란우산 기금이 굉장히 많다. 관련 기금이 소상공인들의 튼튼한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고치고 개편안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며 "소상공인들에 대한 지원정책이 계속 필요하기 때문에 예산과 인력을 국회,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소진공의 기능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필요하면 (소진공에)외부 전문가도 추가 수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장관은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 등의 기술탈취 유형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피해금액도 커지고 있다. 범부처가 힘을 모아 일원화된 신고센터를 만들 것이다. 이는 '대문'을 만드는 것과 같다. 이를 통해 기술탈취와 관련한 모든 것은 대문을 통해 의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중소기업 수출은 2021년 1155억 달러, 2022년 1145억 달러로 2년 연속 1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 장관은 "우리나라 수출이 전반적으로 타격을 받고 있지만 중소기업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이젠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수출 제품을 다양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 1호를 연데 이어 6월 중엔 사우디아라비아에 추가로 개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 앞서 가진 프리젠테이션에서 '대한민국 영업사원 2(이).0(영)'을 강조하며 중소·벤처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는 뜻을 전하기도 했다.

 

2008년 당시 수출 업무가 중소기업청에서 산업부로 이관되면서 KOTRA가 맡고 있는 관련 업무에 대해선 "코트라는 해외에선 공관으로 등록이 돼 있다. 그렇다보니 코트라가 관장하는 GBC에 입주한 우리 기업은 사업자등록을 하지 못하고 (법인)은행계좌도 만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코트라 산하의 GBC를 독립시켜야한다. 코트라를 산업부에서 중기부로 (통째로)이관하는 문제가 아니다. 협업을 통해 GBC가 입주기업의 수출 지원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중국 시장에 대해서도 "적성국이 아닌 이상 (모든 곳에)수출을 해야한다. 제3의 수출국을 개척하는 것도 숙제다. 중국도 그 중 하나다. (코로나 이후)중국도 개방을 한 만큼 수출에도 역점을 둘 것"이라도 덧붙였다.

 

중소기업들의 제조 혁신도 추가로 지원한다.

 

이 장관은 "인력난이 극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의 디지털·스마트화는 절실하다. 스마트공장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다. 내년엔 올해보다 관련 예산을 증액해 정상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 장관은 개각 명단에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임면권자인 대통령의 뜻에 달린 일"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