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식품업계, 쌀 소비 증대 앞장…관련 먹거리 잇달아 선봬

통계청이 지난 1월 발표한 '2022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명당 연간 쌀 소비량은 평균 56.7㎏으로, 30년 전인 1992년 소비량(112.9㎏)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농진청

쌀 소비량이 지속 감소하면서 쌀 생산량이 수요량을 넘는 공급과잉 기조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식음료업계가 쌀을 원재료로 한 먹거리를 선보이며 쌀 소비 증대에 앞장서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1월 발표한 '2022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명당 연간 쌀 소비량은 평균 56.7㎏으로, 30년 전인 1992년 소비량(112.9㎏)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쌀 소비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식생활로 쌀밥 섭취가 줄고, 대체식품의 다양화로 밥에 대한 의존도가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 것이 거론되고 있다.

 

반면 떡을 포함한 반조리 식품 등에 사용되는 쌀 소비량은 지난해 51만 5890t으로 전년과 비교했을 때 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쌀 소비량은 크게 감소했지만 쌀을 활용한 식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난 것이다.

 

설빙 인절미순희·흑임자순희 막걸리/보해양조

업계는 색다른 맛과 경험을 선호하는 MZ세대 소비자들에 맞춰 막걸리에 흑임자 등 색다른 맛을 첨가하거나 밀가루를 대신해 쌀로 만든 롤케이크를 선보이며 소비자 공략에 힘쓰고 있다.보해양조는 '인절미', '흑임자' 등 전통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선보였다. 지난해 설빙-홈플러스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설빙 인절미순희'를 출시했는데 당시 2주만에 홈플러스 막걸리 카테고리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할 정도로 호응을 얻었다. 보해양조는 인기에 힘입어 두 번째 콜라보레이션 제품인 '흑임자순희'를 선보였다.보해양조의 순희 막걸리 시리즈는 텁텁함이 적어 깔끔함을 추구하는 젊은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특히 인절미와 흑임자가 더해져 한층 더 풍부한 맛과 향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풀무원 올가홀푸드는 지난 3월 국내산 쌀로 만든 '구워만든 우리 쌀 전병'을 내놨다. '구워만든 우리 쌀 전병'은 국산 쌀가루를 사용해 깔끔한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밀가루 대신 34~35% 쌀가루를 넣어 밀전병과 비교해 한층 부드럽고 바삭하면서도 고소함까지 느낄 수 있다.

 

구워만든 우리쌀 전병/풀무원

뚜레쥬르가 지난 2021년 출시한 '우리쌀 롤케이크'는 올 1분기에 약 11만 개가 판매되며 인기몰이중이다. 이는 출시후 3개월간 판매량 대비 약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뚜레쥬르 측은 "빠르게 변화하는 베이커리 트렌드와 소비자 입맛을 반영해 맛과 패키지를 리뉴얼한 후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국산 쌀로 반죽한 부드러운 시트에 고소한 콩고물 크림이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쌀 생산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루쌀' 상품화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벼농사를 짓는 농가에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가루쌀(품종명 '바로미2')을 기존 쌀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2027년까지 수입 밀가루 수요의 10%를 가루쌀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이다.

 

가루쌀은 쌀가루와 달리 가공 편의성이 크다. 불리는 과정이 필요 없는 건식 제분이 가능하고 단단함이 일반 멥쌀의 3분의 1 수준이어서 쉽게 갈린다. 정부는 '가루쌀산업육성반'을 긴급대응반으로 꾸리고 제품 개발 사업 지원을 시작했다.

 

올해 초부터 사업자 공모를 받아 면·빵·과자 등을 포함한 총 19개 제품이 선정됐다.

 

뚜레쥬르 우리쌀 롤케이크/CJ푸드빌

대표적으로 해태제과는 오예스에 가루쌀을 적용한 프리미엄 시즌 상품을 개발한다. 삼양식품은 가루쌀로 글루텐프리 건면을 만들어 짜장라면 제품을 선보이기로 했다. 농심은 볶음 사출면을, SPC삼립은 가루쌀 100%로 휘낭시에, 파운드케이크 등 디저트류와 빵을 개발한다. 업계는 우선 가루쌀을 이용한 신제품 생산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쌀 소비량을 늘리기 위해 지역 쌀 농가와 협업해 제품을 출시하는가 하면, 가루쌀을 활용해 제품 개발에 나서는 모습이다"라며 "가루쌀을 활용한 제품의 경우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과 판로 등의 대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