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디스플레이협회, 차세대 디스플레이 인력 양성 본격화

무기발광 예타사업 2차 총괄기획위원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2열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소순종 소재부품장비전략본부장, 박영호 디스플레이PD, 고려대학교 주병권 교수, 산업통상자원부 최우혁 반도체디스플레이과장, LG디스플레이 윤수영 CTO, 동진쎄미켐 김병욱 부사장,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진병두 부회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성원 연구소장,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철종 센터장, 한국광기술원 김영우 본부장, APS리서치 김치우 사장, 홍익대학교 김용석 교수, 서울대학교 한민구 교수, 경희대학교 장진 교수(위원장),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이동욱 부회장, 삼성디스플레이 추혜용 부사장, 주성엔지니어링 황철주 회장(공동위원장)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미래 디스플레이 인력 양성에 나선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는 '산업 전환형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분야 산업수요에 맞춘 석박사 인력 육성과 확보를 위해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전담한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LED와 나노급 LED, 퀀텀닷 등 자발광 디스플레이 신기술을 뜻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인 OLED 한계를 극복해 화질을 높이면서 수명도 늘릴 수 있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8일 디스플레이 산업 혁신 전략을 통해 10년간 디스플레이 기술 선도 인력 9000명 양성을 목표로 특성화 대학원 개설 등 계획을 밝힌 바 있다.

 

KDIA 사업은 이번 발표 후속조치로, 특화된 커리큘럼 구축과 교육으로 R&D 고급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 기업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 및 교육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KDIA는 사업을 위해 고려대와 중앙대,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등에 특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석박사급 차세대 선도 인력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5년간 50억원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검사장비업체 이엘피 이정훈 상무는 "현재 마이크로 LED 산업의 기반 기술은 중화권과 미국, 유럽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실정 " 이라며 "LED 산업과 광학 중심의 인력양성 기반이 와해된 상황에서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핵심 요소 기술 확보를 위한 인력 양성이 최우선 과제 " 라고 말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이동욱 부회장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확장현실(XR) 기기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 인력난이 심각한 가운데 정부에서 지원중인 석박사급 인재양성 프로그램으로 배출되는 인력은 해마다 100여명도 채 안돼 여전히 부족한 상황" 이라며, "업계에서 예상하는 필요인재와 괴리가 큰 만큼 해당 분야의 석박사 인력이 다수 배출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