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후 6시24분, 한국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KSLV-Ⅱ)가 전용 발사대에서 우주로 날아올랐다.
실용위성을 탑재한 발사체를 쏘아올린 첫 사례다.
3500도 초고온 고압갓의 힘을 받아 하늘로 솟구쳤고, 굉음이 울러퍼졌다.
지난 1·2차와 달리 실용급 위성 8기(주탑재위성 1기, 큐브위성 7기)를 '정확한 우주 궤도에 올려야 하는' 특급 미션을 지고 있다.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위성 궤도 투입을 마무리하면 '실용급 위성 발사체'로 우주경제 시대를 여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발사 이후 1단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 분리, 2단 분리부터 8기의 탑재위성 분리까지 모든 비행 절차를 수행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데이터를 분석 중이며, 곧 성공 여부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3차 발사는 지난해 성공한 2차 발사와 달리 더 낮은 고도 550㎞를 목표 궤도로 삼았다. 2차 발사 때 위성모사체(더미위성)과 성능검증위성이 탑재됐던 것과 달리 실제 우주 임무를 수행하는 8기의 위성을 쏘아 올렸다. 무거운 더미위성으로 인해 탑재 중량이 모두 1.5톤에 달했던 2차 발사 때와 달리 3차 발사는 가벼운 실용위성들이 실려 탑재 중량이 504㎏에 그쳤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 180㎏, 부 탑재위성 7기 60㎏, 위성사출장치 및 어댑터 264㎏이다.
누리호 3차 발사는 전날인 24일 오후 6시24분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오후 3시께 지상의 극저온헬륨 공급용 밸브를 제어 장치에 통신 문제가 발생하며 발사가 취소됐다. 이후 항우연은 밤샘 작업 끝에 시스템을 정상화하고 누리호 발사 재도전에 나선 것이다.
누리호는 이륙 후 125초가 지났을 때 고도 64.5㎞에 도달해 1단을 분리했다. 이륙 234초 뒤엔 고도 204㎞에서 페어링 분리, 272초 뒤엔 고도 258㎞에서 2단 분리를 진행했다.
발사가 하루 미뤄지긴 했으나 발사 예정 시각은 그대로 오후 6시24분으로 유지되며 누리호는 당초 예정됐던 발사 준비 절차를 그대로 진행했다. 오후 3시40분부터 연료·산화제 등 추진제 충전 작업을 시작해 1시간35분 뒤인 오후 5시15분께 충전 작업을 모두 마쳤다. 오후 5시14분부터는 누리호를 발사대에 수직으로 세우는 데 활용된 발사체 기립 장치 철수를 시작했다.
발사 10분 전인 오후 6시14분부터 미리 프로그램된 발사자동운용(PLO)이 가동되며 발사관제시스템이 자동으로 이륙 전까지의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발사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목표 궤도인 550㎞에는 이륙 783초 뒤에 도달했다. 이 지점에서 가장 거대한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1차 분리됐다. 이후 20초 간격으로 나머지 7개의 부탑재 위성이 같은 고도로 사출됐다. 위성 분리 순서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 져스텍의 'JAC' → 루미르의 'LUMIR-T1' →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 → 도요샛 1~4호 순이었다.
누리호는 이같은 절차를 모두 마친 뒤 이륙 후 약 1138초가 지난 뒤 모든 절차를 마치고 비행을 종료했다. 분리된 1단, 페어링, 2단은 한반도 남쪽에서 각각 430㎞, 1585㎞, 2804㎞ 떨어진 해상에 추락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