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계가 모빌리티 사업 육성 성과를 본격화하고 있다. 일찌감치 미래 먹거리로 육성한 덕분, 앞으로도 사업 비중을 높일 전망이다.
31일 증시에 따르면 LG전자 주가는 30일 12만원대로 올라서며 연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전장 사업 성장 기대감이 본격화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나증권 김록호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97배로 저평가됐다는 평가와 함께 2025년부터 마그나와 합작해 만든 LG마그나이파워트레인이 실적에 기여할 것이라며 지속 성장을 점쳤다. 유진투자증권 이승우 리서치센터장도 VS사업부가 2030년 매출 23조원까지 성장하며 '스타 사업부'로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목표가도 올렸다. KB증권은 애플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력한 공급사인 LG그룹 관련 계열사들이 수혜를 입었다는 구체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LG그룹은 구광모 회장이 취임한 이후 전장 사업을 꾸준히 키워왔다.
LG전자는 수익성이 높지 않았음에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사업을 고도화하며 GM과 랜드로버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를 공략하는데 성공, 지난해 흑자 전환을 이뤄냈다. 스마트폰 사업을 철수했으면서도 통신 기술 개발을 이어가면서 커넥티드카 시대를 준비 중이다. 전기차 파워트레인을 만드는 미국 마그나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차체 개발 역량까지 확보했다. 지난해 전체 매출 중 비중이 10%를 넘어서며 주요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면적이 커지면서 P-OLED를 만드는 LG디스플레이도 성장 기대감이 높다. LG이노텍도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센서 라인업을 꾸준히 확대하는 등 전장 부품 사업에 힘을 더하며 1분기 전사 매출 중 8.7%를 차지, 10% 수준을 앞두고 있다. 자동차 조명회사 ZKW도 유럽 주요 완성차업체에 고성능 제품을 납품하며 주요 계열사로 자리잡았다.
사실상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다. 애플카를 공급할 것이라는 전망도 이어진다. 다만 LG전자는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 조립 공정까지는 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 이미 애플과 주요 협력사로 끈끈한 인연을 이어온 만큼 부품을 공급하는 수준이 예상된다.
LG전자는 자동차 부품 공급 뿐 아니라 BS사업본부를 통한 전기차 통합 솔루션 사업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최근 자회사인 하이비차저(전 애플망고)에서 전기차 충전기 생산을 시작하고 GS칼텍스 등 GS계열사에 공급하거나 협력할 예정, 전기차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사업도 고민중이다.
삼성 역시 2018년 이재용 회장이 미래 사업으로 전장을 지목한 이후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디지털 콕핏 점유율이 23.1%, 자회사 하만도 2021년부터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파운드리에서도 7나노 공정으로 테슬라칩을 만든데 이어 최근 이 회장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만나면서 차세대 칩 수주 가능성도 높아졌다. 자체 브랜드 엑시노스 오토를 론칭하고 독일 기업에도 납품하는 중, 최근에는 전장용 반도체 전문가들을 대거 영입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페라리와 현대자동차 제네시스에 OLED 패널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전선 업계 강자인 LS그룹도 전동화 바람을 타고 성장을 본격화했다. 구자은 회장이 '배전반(배터리·전기차·반도체)'를 미래 핵심 사업으로 지목, 전장 부품 제조 계열사인 LS EV코리아를 상장하고 충전기 사업을 하는 LS이링크를 설립하는 등 역량을 쏟아붓는 분위기다.
김치냉장고 '딤채'로 잘 알려진 대유위니아그룹도 전장 부품 사업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는 모습이다. 스티어링휠을 제조하는 대유에이피와 자동차 시트를 만드는 대유에이텍에 개발 역량을 더하며 잇따라 대규모 수주에 성공, 지난해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을 만드는 신기인터모빌을 인수하며 시너지 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국내 산업계가 전장 사업으로 빠르게 성장한 비결은 발빠른 투자로 경쟁력을 극대화한 영향이 크다. 글로벌 완성차사와 부품사들이 전동화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을 중단하는 등 주춤하는 사이, 미래 모빌리티를 겨냥한 제품을 상용화하며 주도권을 잡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현대자동차그룹이 크게 성장한 영향도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차종으로 잇따라 대박을 터뜨리며 생산량을 크게 끌어올린 상황, 대유위니아그룹을 비롯해 현대차그룹을 중심으로 납품하던 회사들도 수주를 대폭 늘릴 수 있었다.
전세계 공급망 확보는 숙제다. 완성차 업계가 코로나19와 전쟁 등을 겪으며 안정적인 부품 공급을 더 중시하고 있어서다. 특히 프리미엄 자동차 생산 기지가 포진해있는 유럽에는 생산 기지를 운영하는 회사가 드물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많은 부품을 생산 기지 주변에서 조달하고 있다"며 "아직은 한국 전장 품질 경쟁력이 높아서 많은 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결국은 공급사 중 하나일뿐,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