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물욕 없는 세계

스가쓰케 마사노부 지음/항해

 

'뭘 들고 나가야 하나' 지난달 31일 스마트폰으로 위급재난문자를 받았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이었다. '전날 산 노트북? 젠장. 아직 한 번도 못 써봤는데 아깝다', '가장 아끼는 미니피규어? 어딘가에 잘 모셔놨는데 그게 어딘지 기억나지 않는다', '단종돼 구하느라 개고생한 블럭 세트? 이건 부피가 너무 큰데···', '웬만한 건 다 할 수 있는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과 기능이 중복돼 효율적이지 못하다'

 

피난 물품 후보들을 침대 위에 늘어놓고 인생 최대의 고민을 하고 있을 때, 좀 전의 경계경보가 오발령이란 정정문자를 받았다. 에라이. 많은 사람들이 허탈감과 안도감, 분노를 느끼고 있던 때 필자는 인생에 '현타(현실 자각 타임·자신이 처한 상황을 깨닫는 시간)'가 왔다.

 

소중하게 여기는 것들이 인간이 아닌 물건이었기 때문이다. 가족과 친척, 친구부터 챙겼어야 했는데···. 다들 나보다 잘 피했을 것 같아 걱정을 하지 않았다는 변명 아닌 변명을 해본다. 아무튼. 그동안 사들인 물건은 왜 이렇게 많은 것이며, 그럼에도 왜 자꾸 사고 싶은 게 늘어만 가는 것인지···.

 

'물욕 없는 세계'를 읽으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20세기 후반 사람들을 부채질했던 물욕의 파고가 점차 변하는 것을 느낀 저자는 물욕의 행방을 좇기로 결심한다. '물욕 없는 세계'가 그 산물.

 

저자는 '물욕이 강하면 행복해질 수 없다'고 단언한다.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들이 그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2004년 미국 일반사회조사에 의하면, 가족의 연 수입이 2만달러 이하인 그룹의 60.5%가 '행복하다'고 응답한 반면, 연 수입 9만달러 이상 그룹에서는 51.8%만이 '행복하다'고 답했다. 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 교수의 조사 결과 연봉 5만~8만9999달러 집단과 9만달러 이상 그룹 간에는 행복도의 차이가 없었다. 고소득자들은 돈을 더 벌기 위해 장시간 노동했고, 노동 시간이 길어질수록 행복감이 쪼그라들었다.

 

소유욕이 강한 사람은 전반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떨어졌다고 책은 설명한다. 필요 이상으로 소유하는 행위로는 행복감을 높이기 어려우며, 물욕이 강한 인간은 행복해지기 힘들다는 것이다.

 

저자는 "소비나 물욕은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게 아닌 기업과 사회가 사람들에게 구조적으로 강요한 것"이라며 "과잉소비를 그만두고 돈으로 살 수 없는 기본적인 가치, 본질에 눈을 뜨라"고 조언한다. 256쪽. 1만5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