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K-배터리, 中 배터리 약진에 시장점유율 소폭 하락…LG엔솔은 3위

지난해와 올해 1~4월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점유율 현황/SNE리서치

올해 1~4월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이 전년 동기에 비해 하락했다. 1위와 2위는 중국 기업들이 차지했으며 LG에너지솔루션은 3위를 기록했다.

 

5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4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EV·PHEV·HEV) 배터리 총 사용량은 약 182.5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49.0% 증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1~4월 사용량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은 14.1%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3위였던 BYD의 점유율이 16.1%로 오르며 중국 배터리사 BYD에 2위 자리를 내줬다. BYD는 중국 내수 시장 판매에 힘입어 세 자릿수 성장률(108.3%)을 기록했다.

 

1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점유율을 1.5%p 높인 중국 배터리사 CATL(35.9%)이 차지했다. CATL은 중국 내수 시장의 주력 승용 전기차 모델, 중국 상용차 모델 등에 배터리를 다수 탑재하며 점유율을 높였다.

 

3사 모두 사용량 기준 성장세를 보였지만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성장세로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합산 점유율은 23.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p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대비 49.3%, SK온 5.3%, 삼성SDI는 28.4%의 성장률을 보였다. SK온의 배터리 사용량은 작년 동기 9.0GWh에서 9.5GWh로 5.3% 증가했다. 시장점유율은 7.4%에서 5.2%로 하락하며 5위를 유지했고, 삼성SDI의 배터리 사용량은 5.9GWh에서 7.5GWh로 28.4% 늘었다. 시장점유율은 4.8%에서 4.1%로 소폭 하락해 6위에서 7위로 순위가 내려갔다. 일본 배터리 업체 중에서는 파나소닉이 전년 동기 대비 35.9% 성장했다. 시장 점유율은 8.2%로 4위를 차지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 덕분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Y, 폭스바겐 ID. 3/4, 포드 Mustang Mach-E 등의 판매 호조로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리비안 픽업트럭 R1T/S, BMW i4/7/X, 아우디 E-Tron이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 5, 기아 EV6와 전기 트럭 모델인 현대 포터2 일렉트릭, 포드 F-150의 판매량 증가로 인해 성장세를 기록했다. SNE 리서치 측은 "공식 출시 후 사전계약 1만대를 돌파한 기아 EV9은 SK온의 99.8kWh 고용량 배터리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져 향후 SK온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올해는 중국 내수 전기차 시장 성장률이 점차 낮아질 것을 대비해 중국 업체들의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진출이 전망된다"며 "향후 중국 업체들의 유럽 시장 진출을 본격화로 유럽 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탑재 비중도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