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세계 최대 바이오 전시회에서 몰린 기업들..K-바이오 경쟁력 알린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전시회인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2023)'이 미국 보스턴에서 5일(현지시간) 막을 올렸다. 롯데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국내 주요 바이오 기업들은 이번 행사에 참여해 홍보 부스를 열고 위탁개발생산(CDMO) 능력과 혁신 신약 등 K-바이오의 경쟁력을 알릴 예정이다.

 

올해로 30회를 맞은 '바이오 USA'은 미국 바이오 협회에서 매년 개최하는 바이오 분야 세계 최대 국제 행사다. 올해는 5~8일 '과학을 위해 일어나라(Stand Up for Science)'라는 주제로, 바이오 기술 본연에 대한 소개뿐만 아니라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현황, 정책 전망과 더불어 기술개발을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 문제까지 다양하게 다룰 예정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시러큐스 공장의 제조 기술, 공정개발 서비스, 품질 시스템과 더불어 국내 메가 플랜트 설립 계획 등 자사의 차별화 역량을 홍보한다. 부스 내부에 미팅 테이블과 프라이빗 미팅룸을 마련해 사전 조율된 30여개의 국내외 주요 글로벌 제약사, 중소형 바이오텍 등 다양한 기관과의 바이오의약품 위탁 생산에 대한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김경은 사업개발부문장은 "이번 바이오 USA에서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과 자사의 중장기적 사업 역량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양한 파트너링을 통해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전시장 메인 위치에 세계 최대 생산능력(총 60만4000리터)에 걸맞는 대규모 부스(167㎡·50평)를 설치했다. 참가 기업 가운데서는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전시장 메인 위치에 세계 최대 생산능력(총 60만4000리터)에 걸맞는 대규모 부스(167㎡·50평)를 설치했다. 참가 기업 가운데서는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창사 이래 11년 연속 단독 부스로 참가 중이다.

 

부스에는 LED 패널과 월 그래픽(Wall Graphic)을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생산능력, 위탁개발(CDO) 플랫폼의 차별화된 경쟁력과 함께 항체·약물 접합체(ADC)·메신저 리보핵산(mRNA) 등 확장된 포트폴리오를 소개했다.

 

행사 셋째 날인 7일(현지시간)에는 바이오 인터내셔널이 주최하는 메인 환영식에 제넨텍, 아반토 등과 함께 후원을 진행하며 바이오 제약 업계 주요 인사들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바이오USA 2023' 행사장 내 단독 부스를 설치하고 오픈 미팅 공간과 프라이빗 미팅룸을 마련했다.

셀트리온 역시 단독 부스를 설치해 부스 내부에 오픈 미팅 공간과 프라이빗 미팅룸을 마련했다. 셀트리온은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포함한 신규 모달리티 발굴을 위한 플랫폼 기술과 항체약물접합체, 이중항체 및 항체신약, 마이크로바이옴 등 신약 분야까지 폭넓은 범위에서 해당 기술을 보유한 잠재적 파트너를 탐색하고 향후 공동개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회사를 넘어 신약 개발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자체 개발 경쟁력 강화는 물론 공동개발, 오픈 이노베이션, M&A 등 사업 확대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라며 "이번 바이오 USA를 통해 그동안 쌓아온 의약품 개발 경험과 기술 경쟁력에 시너지를 더할 수 있는 다양한 기업과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데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차바이오그룹은 미국 자회사 마티카바이오와 차바이오텍, 차백신연구소가 참석해 기술 이전과 공동 개발 등을 논의한다. 마티카 바이오는 3세대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경쟁력을 소개하고 수주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 밖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메드팩토, 인벤티지랩, 강스템바이오텍 등도 행사에 참여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