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LG전자, 조주완 사장 중동·인도 현장 경영…현지 위상 확대 당부

조주완 사장(오른쪽 두 번째)이 지난 1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초대형 미래 신도시 건설 사업 '네옴시티'의 전시관을 방문해 '더 라인', '옥사곤', '트로제나' 등 3가지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기회를 소개받고 이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LG전자가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를 정조준한다.

 

LG전자는 지난 1일 조주완 사장이 사우디 리야드에 있는 '네옴 시티' 전시관을 방문했다고 7일 밝혔다.

 

조 사장은 '더 라인'과 '옥사곤', '트로제나' 등 3개 프로젝트 사업 기회를 소개받고 심도있게 논의했다. 이어서 LG전자가 축적한 기술력을 앞세워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최적화한 가전과 TV, 로봇과 상업용 디스플레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 기회를 확보하라고 주문했다.

 

이어서 리야드에 있는 생산기지를 방문해 프리미엄 에어컨 생산현장도 살펴봤다. 에너지 고효율 부품을 탑재해 에어컨 수요가 높은 중동 등 지역에서 필수 가전으로 손꼽힌다.

 

조 사장은 6일 인도 뉴델리 판매법인과 노이다 가전 생산라인 및 R&D센터 등을 방문해 사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점검하기도 했다. 뉴델리에서는 IT 솔루션을 활용한 에듀테크 등 신사업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프리미엄 가전과 온라인 강화 등 현지화 전략 정비도 주문했다. 노이다에서는 생산 라인을 살펴보고 2025년으로 계획 중인 재생에너지 100% 전환 등 친환경 스마트공장 추진 현황을 확인했다.

 

LG전자는 인도에 진출한지 26년간 현지 특화 제품을 선보이고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으로 현지 시장 점유율 1위를 이어가고 있다. 온라인 브랜드샵을 운영하고 소비자 직접판매를 확대하는 등 새로운 전략도 확대 중이다. 조 사장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도 시장에서 위상을 확대하고 사업을 더 성장시킨다는 방침이다.

 

조 사장은 현지법인 임직원에 "고객경험 혁신 기반의 신규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프리미엄 가전 및 맞춤형 서비스 전략을 고도화해 현지 시장에서 브랜드 위상을 더욱 높여나가자"고 주문했다.

 

한편 조 사장은 상반기에만 12개국, 14만5000여km를 이동하며 글로벌 현장 경영을 지속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