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문창섭 삼덕통상 회장, 尹 대통령 베트남 경제사절단 동행

2016년 개성공단 폐쇄후 베트남 롱안성에 '대체 생산기지' 만들어

 

베트남 직원 약 3000명 고용…年 300만족 이상 신발 생산해 납품

 

文 회장 "경색된 남북 관계 개선돼야…닫힌 개성공단 재개도 희망"

 

문창섭 삼덕통상 회장.

삼덕통상 문창섭 회장(사진)이 이달 하순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베트남 순방에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16일 재계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오는 22일부터 24일까지 사흘간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 특히 이번 베트남 국빈 방문에는 민간주도로 구성한 205명의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동행한다. 이는 윤 정부 출범후 최대 규모다.

 

문창섭 회장은 박근혜 정부가 개성공단을 강제로 폐쇄한 이후 대체 생산지를 베트남 남쪽에 위치한 롱안(Long An·隆安)성으로 옮겨 현재 연간 300만족 이상의 신발을 생산하고 있다.

 

롱안성은 베트남의 경제 수도로 불리는 호치민시 남서쪽에 위치한 성으로 비옥한 메콩강 삼각주와도 맞닿아있다. 호치민 시내에서 롱안성까진 차로 40~50분 정도다.

 

2017년 본격 가동을 시작한 '삼덕베트남' 공장은 초기에 1500명에 미치지 못했던 인원이 지금은 3000명이 훌쩍 넘으며 현지에서 고용 창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문 회장은 "대통령 순방 동행 일정에 앞서 한국의 농기계 중소기업 등 기업인들과 롱안성을 먼저 방문해 우리 기업들의 현지 투자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며 "개성공단이 문을 닫은 후 '제2의 개척지'가 된 베트남에서 안정적 생산기반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삼덕베트남의 롱안성 공장 내부 전경. /사진=삼덕통상 제공

문 회장이 '신발의 도시'로도 불리는 부산에 창업한 삼덕통상은 2016년 당시 개성공단 폐쇄 직전까지 공단 입주기업 123곳 중 가장 많은 약 3000명의 북측 근로자를 고용하며 남북 경제협력의 상징적인 역할을 해 왔다.

 

문 회장은 "개성공단 초기인 2005년부터 개성공단에 들어가 북측 근로자들과 동고동락하며 공장을 가동하던 시절이 떠오른다"면서 "경색된 남북 관계가 빨리 개선돼 문이 닫힌 개성공단이 다시 열리고 남북 경제협력도 재개되길 염원한다"고 덧붙였다.

 

(사)개성공단기업협회장을 역임한 문 회장은 현재 중소기업중앙회 남북경협특별위원장, 개성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 한국신발산업협회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삼덕통상은 현재 부산과 베트남 등에 연구개발센터와 생산 공장을 두고 총 5000명이 넘는 인원을 고용하며 노스페이스, 케이투(K2), 아이더, 머렐, 네파, 디스커버리 등 국내외 주요 브랜드에 신발을 납품하고 있다.

 

한편 윤 대통령의 베트남 순방 경제사절단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주요 그룹 대표를 비롯해 대한상공회의소(최태원 회장), 중소기업중앙회(김기문 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김병준 회장 직무대행), 한국중견기업연합회(최진식 회장), 한국무역협회(구자열 회장), 한국경영자총협회(손경식 회장) 등 6대 경제단체장들도 동행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