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외부 전문가 5명' 민주당 혁신기구 1차 인선 발표, "가죽 벗기고 뼈 깎는 노력하겠다"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 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식 민주당 의원, 차지호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 이재명 민주당 대표, 김은경 민주당 혁신기구 위원장, 김남희 변호사, 이선호 울산시당위원장, 윤형중 LAB2050 대표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가칭) 위원장이 20일 총 7명으로 구성된 혁신위원 1차 인선을 발표하면서 "가죽을 벗기고 뼈를 깎는 노력으로 민주당을 윤리정당으로 거듭나게 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혁신 기구 1차회의에서 김남희 변호사, 윤형중 LAB2050 대표, 이진국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 차지호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이해식 민주당 의원, 이선호 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으로 조직된 인선을 발표했다.

 

이번 인선에서 외부 전문가만 5명이 영입되면서, 현역 의원들의 입김을 방지하려는 김 위원장의 의견이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인사의 면면도 복지, 미래, 사법, 정치, 위기관리 등 다양하다. 김 변호사는 인권·복지 전문가로 주로 사회적 약자의 권리 보호에 힘써왔다. 윤형중 대표는 한겨레신문사 기자 출신으로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에 대한 활동을 지속해왔다. 이진국 교수는 한국형사법학회 선출직 회장을 역임했고 서복경 대표 정당과 선거 그리고 민주주의 전문가다. 차지호 교수는 글로벌 위기 전문가로 인공지능 기반의 미래 위기 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정부여당이 이렇게 무능한데도 국민들은 민주당을 대안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정치를 바로 세우려면 민주당부터 바로 세워야 한다는 생각에서 직을 수락했다"며 "민주당은 전면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국민에게 미래와 희망을 제시하는 대안과 비전의 정당이 돼야 한다. 혁신위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근본을 바꾸는 대전환의 시동을 걸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정치권에 빚이 없는 사람이다. 친명(친이재명), 비명(비이재명), 친문(친문재인), 비문(비문재인)도 아니다. 계파 이익, 강성 당원 요구, 기득권으로 전락한 의원들에 대해 한치의 관심도 없다"며 "책임 있는 정당 민주당의 수장으로 엄중히 경고한다. 이 시간 이후로 당내 분열과 혐오를 조장하고 혁신을 저해하는 모든 시도와 언행에 대해서 일체 관용을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의에 참석한 이 대표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고 민주주의라는 기본적인 체제에 대해서 정당이 가지는 역할과 책임이 매우 크다. 민주당이 국민들로부터 충분히 사랑받고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현실을 반성하고 새로운 민주당의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드리려고 한다"며 "민주당은 혁신기구에서 논의되고 성안되는 안을 전폭 수용하고 민주당이 국민 속에 사랑받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최대한 젊은 위원을 모집하려고 했으며, 젊은 여성 인재를 영입해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남희 변호사는 "제가 초등학교 5학년 딸이 있다. 정치혁신 위원회에 참여하겠다고 말하니까 '엄마 구려'라고 말을 했다. 웃고 넘어갈 수 있는 말인 것 같지만 생각을 해보니 지금 정치를 바라보는 국민 시선이 딱 그런 것 같다"며 "아이를 키우고 문제를 경허하고 일하는 가정에서 많은 사회적 약자를 돌보면서 우리 사회 문제들에 대해서 정치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에 실망했다. 정치가 구린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문제를 직접 이야기하고 해결해가는 공간으로 만드는 데에 힘을 보태고 싶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비공개 회의 후 취재진과 만나 혁신위가 만들어진 계기가 된 '돈 봉투 살포 의혹'을 언급하면서 "(비공개 회의에서) 2020년 이후에 의원이나 당직자들의 부패와 비리 사건을 우선으로 다뤄보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돈 봉투 살포 의혹 사건과 연결시켜서 제도적 쇄신안을 만들자는 것이 첫번째 의제"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