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침체 없는 한국 럭셔리카 시장, 글로벌 경영진도 주목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오른쪽) 람보르기니 아태지역 총괄과 김종복 람보르기니 서울 대표가 23일 경기 김포시 한국타임즈항공에서 열린 람보르기니 첫 HPEV 하이브리드카 '레부엘토' 미디어 공개 행사에서 차량을 보여주고 있다. /뉴시스

초고가 자동차 브랜드들이 앞다퉈 한국에 신차를 들여오고 있다. 럭셔리 시장 규모가 남다르게 커지고 있는 이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는 23일 국내에 레부엘토를 처음 공개했다.

 

레부엘토는 람보르기니 첫 하이브리드 모델로, 람보르기니를 상징하는 V12 엔진에 전기모터 3개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출력이 1015마력, 더블 클러치 변속기를 조합했다.

 

레부엘토는 가격이 7억원대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국내에 배정된 물량이 벌써 2년치 예약이 끝났다. 아시아태평양 총괄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가 직접 방한해 차량을 소개할 정도로 기대감을 드러냈다.

 

앞서 롤스로이스도 16일 기본가격이 6억원대인 첫 전동화 모델 스펙터를 아시아 및 태평양에서 처음으로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사전 예약 물량이 무려 200대로 연간 브랜드 판매량에 준하는 수준이다. 마찬가지로 아태지역을 맡고 있는 아이린 니케인 총괄이 직접 자리를 방문해 시장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애스턴마틴도 22일 3억원대 신형 모델 DB12를 국내에 소개했다. 이미 대기자만 1년 수준이라는 설명, 아시아 지역을 총괄하는 그랙 아담스 사장이 함께했다.

 

따로 공개행사를 열지는 않았지만 벤틀리 역시 컨티넨탈 GT 뮬리너와 아주르, S 등 3개 모델을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 모두 3억원을 훌쩍 넘는 모델로, GT탄생 20주년을 기념해 개발됐다.

 

아이린 니케인(Irene Nikkein) 롤스로이스모터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괄이 '스펙터'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뉴시스

그 밖에도 페라리는 최근 아시아 처음 '우니베르소 페라리'를 열고 국내에 있는 마니아와 VIP 소비자를 위한 시간을 마련했다. 페라리 글로벌 CEO도 동행했다. 포르쉐는 1899년 고종황제가 독일에 선물한 3종 전시품을 들여오는 '1899, 하인리히 왕자에게 보낸 선물' 특별전과 함께 무형문화재에 대한 지원을 약속하며 브랜드 헤리티지와 사회 공헌에 힘썼다.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들이 경기 침체 속에서도 국내 시장에 힘을 쏟는 이유는 여전히 성장세가 지속되는 몇 안되는 국가라서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전년대비 5월까지 누적 판매량 성장률은 브랜드별로 포르쉐가 27.1%, 벤틀리가 11%, 람보르기니 26.5%, 롤스로이스 9.9% 등이다. KAIDA 통계에 잡히지 않는 페라리와 애스턴마틴도 성장세가 가파른 것으로 알려져있다.

 

경영진들도 이같은 인식을 숨기지 않고 있다. 람보르기니 스카르다오니 아태 총괄은 럭셔리 시장 침체를 느끼지 않는다고 밝혔고, 롤스로이스 니케인 총괄은 한국 판매량이 일본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하기도 했다. 글로벌 주요 경영진들이 앞다퉈 한국을 찾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전세계에서 유독 한국 럭셔리카 시장이 크게 성장하는 배경에는 까다로운 소비자가 있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성공적으로 임기를 마치고 본사로 돌아가게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토마스 클라인 사장은 한국 소비자들이 혁신 기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고, 자동차로 취향과 사회적 입지를 표현하는 경향이 있어 럭셔리카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고 봤다.

 

영국 럭셔리 스포츠카 브랜드 애스터마틴이 22일 서울 강남구 애스터마틴 쇼룸에서 슈퍼 투어러 신규 모델 'DB12'를 선보이고 있다. /뉴시스

전동화 시대에도 차별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숙제다. 내연기관과 달리 승차감 차이가 거의 없어지면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롤스로이스 등 럭셔리카 브랜드들은 고급화와 맞춤형 '비스포크' 서비스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롤스로이스는 최근 스펙터를 공개하면서 다양한 커스텀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슈퍼카는 내연기관과 전동화를 조합해 성능을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르쉐가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타이칸을 개발하며 슈퍼 전기차 시장 가능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e-퓨얼'을 만들면서까지 내연기관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람보르기니는 레부엘토를 통해 V12 엔진 역사를 이어가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확인했으며,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총괄 인터뷰를 통해서는 2028년 최고 성능을 내는 전기차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