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올 상반기 엔데믹 효과에 따른 유통 키워드로 '리바운드(Re·b·o·un·d)'를 선정했다. 오프라인 고객 유입을 위한 '점포 리뉴얼(Renewal)', 고객 장바구니 부담을 낮추는 '최적가(Best Price)', 대형마트 본연의 강점인 '신선식품 강화(Origin)'에 앞장섰다. 또한 상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이색상품 출시(Unique product)', 차별화된 '테넌트 공간(Differentiated)' 등 고객 발길을 잡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펼쳤다는 의미를 담았다.
◆ REnewal: '미래형 마트'로 점포 리뉴얼
먼저, 대규모 투자를 선제적으로 단행하며 점포 리뉴얼에 힘을 줬다. 지난해 2월 간석점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18개 점포를 리뉴얼한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은 ▲먹거리 구색 강화 ▲고객 중심의 동선 혁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마트로, 고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실제로, 강서점은 한 때 매출이 전년 대비 최고 75%까지 상승하며 1분기 실적 개선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이에 힘입어 올 하반기에는 기존 리뉴얼 점포들의 강점은 집약하고 단점은 보완한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2.0'을 론칭할 계획이다.
◆Best price: 최적의 가격으로 물가 부담 낮춰
'위풍당당 프로젝트'를 앞세운 다양한 할인 행사 전개로 장바구니 부담 감소에도 기여했다. 특히 생필품부터 먹거리까지 까다롭게 엄선한 PB 경쟁력 강화로 고객 만족도까지 높였다. 일례로, '홈플러스시그니처 IH티타늄 단조 프라이팬'은 한국소비자원이 실시한 프라이팬 코팅 내구성 조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1월 17일~2월 26일까지 전년비 PB 프라이팬 매출 240% 신장을 이끌었고, 1봉에 500원이라는 압도적 가성비를 자랑하는 '이춘삼 짜장라면'은 출시 9일만에 초도물량 완판, 출시 두 달여 만에 매출 15억원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Origin: 신선식품 경쟁력 강화
대형마트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신선식품 품질 경쟁력도 강화했다. 홈플러스가 신선 품질을 책임지는 '홈플러스 신선농장'을 운영한 결과,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신선식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로 크게 신장했고, 축산 카테고리는 약 20%, 과일은 약 15% 증가했다. 이에 홈플러스는 올해 '홈플러스 신선농장'을 1000여 개로 확대하고, 취급 품목 역시 10대 품목으로 늘릴 계획이다.
◆UNique product: 단독 이색상품 강화
탁월한 글로벌 소싱 역량을 십분 발휘해 단독 이색상품도 대폭 늘렸다. 현재 40개 나라에서 먹거리, 주방, 인테리어, 완구, 레저 등 다양한 카테고리 1700여개 상품을 글로벌 소싱하고 있다. 올해 초 영국 유명 베이커리 '프레타망제(Pret A Manger)' 그래놀라를 시작으로, 월마트(Walmart) 홈 리빙 단독브랜드 '메인스테이즈(MAINSTAYS)'와 DIY 단독브랜드 '하이퍼터프(HYPER TOUGH)' 상품, 그랜지스톤 싱글몰트 위스키, 프랑스 직수입 와인 등을 선보인 바 있다.
◆ Differentiated: 체류하고 싶은 공간으로 차별화
고객 체험형 콘텐츠 중심의 차별화된 테넌트 공간도 다양하게 선보였다. '장보는 대형마트'가 오락·체험까지 가능한 '체류하고 싶은 대형마트'로 진화한 것. 대형마트 단독으로 5월 한 달간 전국 홈플러스 5개점에서 운영한 '캐스퍼 쇼룸'은 물론, 가족 단위 고객들을 위한 대형 키즈카페 '몬스터파크(가양점/마산점)', '엔젤크루 어린이 수영장(인천논현점)', '고고랜드(영등포점)', '풋살파크(목동점/일산점 등 12개점) 등 차별화된 테넌트 전략으로 집객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아시아드점은 전국 대형마트 중 가장 큰 6000평 규모의 몰 테넌트를 앞세워 부산의 대표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2023년 상반기는 엔데믹을 대비해 오프라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제적 투자 효과를 점검하는 시간이었다"라며 "하반기는 실질적인 리오프닝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인 만큼 '위풍당당 프로젝트'를 필두로 고객 발길을 잡기 위한 홈플러스만의 차별화된 활동을 전개해 록인(Lock in)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